↑ 1995년 한 부부가 삼풍백화점 사고로 잃어버린 딸을 찾으며 울부짖고 있다. / 사진=워싱턴포스트 기사 캡처 |
미국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가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한국이 27년 전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를 겪고도 비슷한 참사 발생을 막지 못했다고 지적했습니다.
WP는 4일(현지 시간) '이태원 핼러윈 참사, 1995년 삼풍 붕괴의 유령을 소환하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한국이 삼풍 사고 이후 30년간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 것이 아니냐"며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WP는 "현대화의 열망 속 건설업자와 공무원들이 안전조치를 제대로 지키지 않았다"며 "한국이 초고속 경제성장 중 무엇을 용인해왔는지 드러내 준 계기가 됐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사고 당시 상품백화점에는 사고 직전까지 붕괴 조짐이 차고 넘쳤는데도 백화점 경영진이나 관련 당국 공무원들은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면서 "사고 이후 사회 지도층이 연신 재발 방지를 약속해 당시 건축물 안전에 대한 정부 감독이 강화되고, 과실치사에 대한 처벌 강도가 세지는 등 제도적 보완이 이뤄졌다"고 덧붙였습니다.
WP는 삼풍 참사가 한국의 고도 경제성장에 경종을 울렸다면, 이태원 참사는 한국이 문화 중심지로서 전 세계에 존재감을 떨치던 중 발생했다고 분석했습니다.
알렉시스 더든 코네티컷대학 교수는 이번 참사에서 20여 개국 출신 외국인들이 희생됐다는 점을 거론하며 "한국에는 전 세계 사람들을 끌어당기는 무언가가 있지만 한국이 그것에 어울리는 책임감은 갖추지 못한 것 같아 그저 안타깝다"고 전했습니다.
WP는 참사 발생 전부터 위험이 예고됐다는 점도 붕괴 조짐이 많았던 삼풍 당시와 비슷하다고 지적했습니다.
현장 관할서인 용산경찰서는 핼러윈을 앞두고 주말에 일일 10만 명이 이태원관광특구를 방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현장을 관리할 경찰관을 137명만 투입했습니다.
현장 위험을 경고하는 신고 전화 역시 빗발쳤지만, 당시에는 별
WP는 책임질 위치에 있는 사람들의 무책임한 대응도 과거와 달라진 바가 없다고 꼬집었습니다.
더든 교수는 "두 참사에서는 (공통적으로) 책임자들이 '어쩔 수 없었다'는 등 무책임성을 드러내는 패턴이 나타난다"며 강하게 비판했습니다.
[오서연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syyoo98@yonsei.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