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의 보상 요구를 '화대'라고 표현하고 '동성애는 정신병의 일종'이라는 글을 실어 논란을 빚었던 김성회 전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이 이번엔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 "부모도 자식이 이태원 가는 것을 못 막아 놓고"라고 말해 다시 한 번 논란의 중심에 섰습니다.
김성회 전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은 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가도 무한책임이지만, 개인도 무한책임"이라고 운을 떼며 "왜 부모도 자기 자식이 이태원 가는 것을 막지 못해 놓고 이태원 골목길에 토끼몰이 하듯이 몰아넣었다는 표현이 나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전 비서관은 "매번 무책임한 개인들의 모습과 그것을 당연한 생각인 양 부추키는 언론의 논조, 이런 남 탓과 무책임한 모습이 반복되는 한 참사는 반복될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며 "경찰의 직무유기 문제를 떠나서, 국가가 무한 책임을 지겠다는 자세도 중요하지만, 개인이 선택한 자유의지에 대해 개인도 무한책임을 져야 한다는 것을 잊어버려선 안 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2가지 모두 강조되지 않고 한 쪽에만 책임을 떠넘기는 절름발이 의식과 언론의 논조가 대형 참사를 반복시키고 있는 것"이라며 "그러니 투자해 놓고 손해를 보면 국가에게 빚 탕감해 달라는 소리가 나오는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이태원에 간 게 잘못이라는 자신의 주장이 논란이 되자 김 전 비서관은 오늘(4일) "아무리 생각해도 '국가도 무한책임이지만, 자유의지로 선택한 개인도 무한책임'이라는 말을 문제 삼는 이유를 모르겠다"며 "근대 자유주의 국가라면 당연한 말 아닌가"라고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앞서 지난 5월 대통령실 종교다문화비서관에 임명됐던 김 전 비서관은 과거 페이스북에 일본군위반부 피해자들의 보상 요구를 '화대'라고 표현하거나, '동성애는 정신병의 일종'이라는 글을 올린 바 있습니다. 또 한 온라인 사이트에는 "조선시대 절반의 여성이 성노리개였다", "조선시대 벌어진 노예제도에 대해 탐구하고 반성하고 분노하자" 등의 내용이 담긴 글을 쓴 사실도 알려졌습니다.
당시 김 전 비서관은 이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조선시대 인구의 40~50%가 노비였고 그중 노비 2세를 낳을 수 있는 여성 노비가 더 선호됐
김 전 비서관은 결국 자진사퇴하며 윤석열 정부 출범 후 대통령실 비서관급이 낙마한 첫 번째 사례로 남게 됐습니다.
[윤혜주 디지털뉴스 기자 heyjude@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