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31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건장한 체격인 A씨는 당시 쓰러진 사람들을 발견한 직후 경찰과 소방대원들을 도와 시신 옮기는 일을 도왔다. A씨는 업소 관계자와 행인들 너 나 할 것 없이 모두가 시신 수습과 인명 구조에 나섰다고 했다.
119 구조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일손과 장비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는 "3.2m 폭에 불과한 경시진 골목에서 수많은 사람들이 뒤엉켜 겹겹이 깔려 있었다"며 그야말로 아비규환이었다.
![]() |
↑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 핼러윈을 맞이해 인파가 몰리면서 사고가 발생했다. 사진은 이날 사고 난 현장의 사고 전 상황으로 사람들이 밀려다닐 정도로 밀집된 모습이다. 2022.10.30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그러면서 "'살려달라'는 소리에 달려가 그분을 꺼내드렸는데 정말 다행이었다"고 덧붙였다.
그는 예견된 인파에 비해 안전 대비는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A씨는 "핼러윈 때마다 이태원에 왔는데 이날은 다른 때 보다 골목에 인파가 많아 심상치 않음을 느꼈다"며 "통행만 제대로 통제됐다면 이런 비극은 발생하지 않았을까"라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 |
↑ 30일 오후 서울 용산구 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에 마련된 `핼러윈 인파` 압사 사고 희생자 추모 공간에서 시민들이 헌화하고 있다. 2022.10.30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새벽시간대 구조대원들이 속속 도착하자 A씨도 자신이 일하는 업소로 돌아갔다.
상황이
"나는 영웅담을 얘기한 게 아니다"라며 끝내 신분을 밝히지 않은 A씨는 사진 촬영 요청에도 응하지 않았다.
[이상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