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주일 확진자 수 전주보다 7% 감소
유행 억제 의미하는 감염재생산지수 3주째 상승
코로나19 유행 감소 속도 정체기 접어든 상황
Q.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검출 증가?
오미크론 변이 BA.5 검출률 전주보다 감소
BA.5의 하위 변이인 BF.7 검출률 상승
'BF.7 변이' 전파력과 면역 회피 성향 더 강해
Q. 코로나19 유행 전망은?
12월 국민 보유한 면역력 급격히 떨어질 듯
기온 낮아지며 재유행 가능성 점점 커져
재감염율 BF.7 증가와 함께 상승할 듯
Q. 기존 백신과 개량백신 차이는?
초기 유행 바이러스·오미크론 변이 모두 대응
오미크론 세부계통 BA.1 변이 기반으로 개발
화이자 개발한 2가 백신 도입·활용할 예정
Q. 고위험군 지켜야 할 개인방역수칙은?
증상 의심 땐 원스톱진료기관 등 통해 진료
확진 초기 먹는 치료제 신속히 처방받아야
동거인 의심 증상 발생 땐 마스크 착용해야
Q. 독감 및 호흡기 감염병 증가?
40주차 독감 환자 유행 기준 한참 웃돌아
1~6세 영유아 독감 환자 성인보다 높은 수준
메타뉴모·리노 등 급성 호흡기감염증 유행
Q. 독감과 감기 증상 차이는?
독감은 고열과 근육통 등 전신 증상 발생
설사·복통·구토 등 위장관 증상 동반
소아에게는 종아리 근육통 나타나기도
Q. 독감 백신 접종 권장 대상?
매년 조금씩 다른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행
합병증 가능성 높은 위험군 꼭 접종해야
전파 가능성 낮추기 위해 온 가족 접종 권장
Q. 소아 감염 예방 위한 체계 마련?
어린이 대상 독감 예방접종 중점 시행
만 9세 이하 어린이 대상 항바이러스제 선제 처방
병상 활용·의료상담센터 등 의료자원 확충 예정
Q. 독감 접종 시 주의사항은?
독감 백신 건강 상태 좋을 때 접종해야
접종 후 현장서 충분히 머무르며 이상반응 관찰
모더나 2가 백신과 독감 백신 동시 접종 가능
Q. 호흡기 감염병 예방 위한 방역수칙?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고 집단행사 최소화
1일 3회 이상·회당 10분 이상 환기해야
호흡기 증상 등 의심 증상 있다면 진료 받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