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채춤·한복을 중국 문화로 오해할 수 있어, 수정 요청"
![]() |
↑ '게티이미지'에서 '중국 문화'라고 표기된 채 유통되고 있는 사진 / 사진='반크' 블로그 갈무리 |
세계 최대 이미지·영상 플랫폼인 미국 게티이미지가 한국 전통 한복을 입고 부채춤을 추는 사진을 중국 문화로 표기한 채 유통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사이버 외교 사절단 반크는 오늘(24일) 게티이미지가 한복을 입고 부채춤을 추는 사람들의 모습이 담긴 사진에 "중국 무용수들이 춘제(春節·음력 1월 1일)를 기념하기 위해 전통 의상을 입는다"는 설명을 단 채 유통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해당 사진은 2015년 2월 21일 중국 베이징의 '템플 페어'(Temple Fair)에서 열린 춘제 축하공연을 촬영한 사진으로 현재 게티이미지에서 크기에 따라 175달러(약 25만원), 375달러(약 53만원), 499달러(약 71만원)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반크는 "더 큰 문제는 게티이미지에 실린 사진들이 세계 유명 교과서 출판사인 '내셔널 지오그래픽'을 통해 영어 교재에도 출판됐다"며 "이 교재는 미국, 유럽, 아시아 등 세계 여러 대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반크는 이를 방치할 경우 해외 교과서, 언론 등에 더 확산할 수 있다고 보고 현재 게티이미지 측에 항의 서한을 보내 수정을 요구한 상태입니다. 영어를 배우는 세계인이 한복과 부채춤을 중국 문화로 오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편 반크는 지난 22일에는 영국의 유명 출판사인 옥스퍼드에서 발행하는 옥스퍼드 학습자용 영어사전(OALD)에 한복(hanbok)의 뜻을 "긴소매의 재킷(저고리)과 길고 넓은 여성용 치마 또는 남성용 헐렁한 바지로 이뤄진 한국의 전통 의상"으로 등재되는 데 기
반크는 중국이 한복을 자국 전통 의상이라고 주장하는 것에 대한 대응으로 해외 주요 교과서와 백과사전, 영어사전에 ‘한복’을 한국의 전통 복장으로 올리는 캠페인을 전개해 왔습니다. 이전에는 OALD에서 ‘hanbok’을 검색하면 '결과를 찾을 수 없음'이라고 나왔습니다.
[김윤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yanna110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