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국군의날 격파 시범 시대착오적 발언, 장병 사기 저하시켜"
![]() |
↑ 지난 1일 '제74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제1공수특전여단 및 각 군 태권도 시범단이 격파 시범을 보이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
올해 국군의날 행사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장병들이 골절과 인대 손상 등 크고 작은 부상에 시달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14일 국회 운영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전용기 의원이 국방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국군의날 행사 준비 과정에서 총 9명이 다쳤습니다.
제1공수특전여단에서만 골절 2명, 인대 손상 1명, 앞니 파절 1명, 타박상 1명 등 5명의 부상자가 나왔습니다.
이번 국군의날 행사에서는 각 군 특수부대로 이뤄진 합동 특공무술 팀이 맨손과 대검을 활용해 실전 겨루기와 도미노식 격파 등을 시범해 보였는데, 이를 연습하는 과정에서 다수의 부상자가 나온 것입니다.
2군단 소속 장병 1명도 고난도 태권도 격파 시범 연습을 하다가 머리 피부가 찢어지는 두피열상을 당했으며, 제707특수임무단에서는 고공낙하 시범을 훈련하던 중 착지 과정에서 다쳐 골절 환자가 3명 발생했습니다.
한편 지난 1일 열린 제74주년 국군의 날 기념행사에 관해 대통령실은 "A-10, F-16 등 주한미군 군용기가 공군 전력 사열에 최초로 참가하며 계룡대에서 진행한 행사 중 역대 최대 규모"라고 전했습니다.
이에 전 의원은 "군부독재 시대를 연상시키는 시대착오적인 '보여주기식 행사'로 비전투 손실이 발생했다"며 "대통령 눈요기를 위해 장병을 희생시키는 것이 과연 윤석열 대통령이 제시한 튼튼한 국방인가"라고 꼬집었습니다.
하지만 국방부 대변인실은 “이번 국군의 날 행사 때 부상을 입은 인원이 있었는데, 2명은 완치됐고, 7명은 치료 후 회복중이다”며 “특공무술과 고공강하는 과거 행사에서도 실시했던 것으로
이어 “군부독재 시대를 연상시키는 시대착오적인 보여주기식 행사라는 지적은 타당하지 않다”며 “군 본연의 임무가 아닌 행사에서 불필요한 손실을 초래했다는 언급은 당시 행사에 참여한 특전 요원들의 사기를 저하하는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