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원 "급매물 위주 하락거래 발생으로 하락폭 확대돼"
![]() |
↑ 서울 시내 부동산 중개업소 / 사진 = 연합뉴스 |
추가 금리 인상과 집값 하락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아파트 시장에 매수 문의가 급격하게 줄어들어 가격 하락 폭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 12일 단행된 한국은행이 사전 예고한 '빅스텝'(기준 금리 0.5%p 인상)으로 인해, 본격적으로 집값이 하락해 매수세는 줄어들고, 종전 거래가보다 낮은 가격의 매물이 증가했습니다.
13일 한국부동산원 조사에 따르면, 10일 조사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주 대비 0.22% 떨어졌습니다. 지난주(-0.20%)보다 낙폭은 커졌으며, 2012년 8월 마지막 주(-0.22%) 조사 이후, 10년 1개월여 만에 최대 하락 폭을 기록해 20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부동산빅데이터업체 아실은 13일 현재 서울 아파트 매물은 총 61,715건이 나왔으며, 일주일 전에 비해 2.4% 증가한 수치라고 밝혔습니다.
노원·도봉구 아파트값은 각 0.40% 떨어지며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습니다. 노원구 아파트값은 2012년 6월 마지막 주(-0.48%) 이후, 도봉구는 2013년 2월 둘째 주(-0.62%)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한편 강남권에서는 △송파구(-0.31%) △강남구(-0.15%) △서초구(-0.05%)를 보였습니다.
![]() |
↑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 / 사진 = 연합뉴스 |
이에 따라 전국 아파트값은 0.23% 내리며 지난주(-0.20%)보다 낙폭이 0.3%p 커지며, 2012년 5월 부동산원의 시세 조사 이래 역대 최대 하락 폭을 기록하며 23주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경기도와 인천 아파트값도 각각 0.30%, 0.38% 하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수도권 전체 아파트값이 0.28% 떨어지며 2012년 5월 한국부동산원의 시세 조사를 시작한 이래 10년 5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경기도에서는 광명시 아파트값이 0.44% 떨어져 지난주(-0.40%)보다 낙폭이 확대됐고, △김포(-0.43%) △화성(-0.35%) △안산(-0.33%) △시흥(-0.32%) 등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수원 영통구(-0.79%)는 입주 물량 영향 있는 망포·매탄동 위주로 하락 폭이 커졌습니다. 한편 인천 서구(-0.45%)는 가정·마전동 위주로 하락 폭이 커졌습니다.
지방은 조정대상지역 등 규제지역이 해제됐음에도 하락 폭이 커졌습니다. 세종시 아파트값은 0.45% 떨어지며
부동산원은 “지속해서 매물가격 하향 조정이 진행하고 있으며, 추가 금리인상과 부동산 경기 하락 우려로 매수 문의가 감소한 상황이 지속되는 중”이라며 “이 가운데 급매물 위주의 하락 거래가 발생해 하락 폭이 확대됐다”라고 말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