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대구시 산격청사. [사진 제공 = 대구시] |
대구시와 대구상공회의소는 29일 '대구 중견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지역 중견기업 122개사 중 응답에 응한 90개사를 대상으로 분석됐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역 중견기업의 가장 큰 어려움은 절반 가량이 인력확보(48.9%)라고 답했다. 기업 경영상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제도는 주 52시간 근로(31.0%)가 가장 많았고 이어 중대재해처벌법(23.7%), 최저임금(15.9%), 환경규제(12.9%) 순이었다.
2020년 말 결산 기준 대구 중견기업 수는 122개 사로 전국 중견기업 (5526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2%였다. 종사자 수는 3만 1000명, 매출규모는 17조원이었다. 전체 중견 기업 중 제조업이 58개 사(47.5%), 비제조업은 64개 사(52.5%)였다.
제조업 주요업종별 구성비는 자동차(50.0%)가 압도적으로 많았고 기계장비(15.5%), 1차 금속(13.8%) 등의 순이었다. 비제조업은 도소매(37.5%), 건설(12.5%), 부동산(12.5%)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지역 중견기업들의 지난해 근로자 1인 평균 급여액은 연봉 5041만원이었고 대졸기준 신입사원 평균 초임은 3590만원이었다. 근로자 평균 근속 연수는 112개월(약 9년 4개월)이었다. 현재 신산업을 추진 중인 중견기업은 10곳 중 4곳(41.0%)으로 신산업 추진 분야는 미래차 산업(55.9%)이 가장 많았다. 응답 기업의 53.6%는 ESG(환경 사회적책임 지배구조) 경영 도입의 필요성을 체감하고 있다고 답했지만 실제로 ESG 경영 도입 중인 기업은 39.8%에 불과했다.
이번 조사에 자문을 담당한 이재민 경북대 교수는 "대구 중견기업의 업종이나 신산업 추진분야에 자동차 산업이 편중돼 산업 다양성이 부족하다"며 "지역의 대표 기업임에도 절반 정도가
한편 이번 조사는 중견기업 122개 사 대상 총 10개 영역 45개 항목으로 지난 5월부터 약 2개월간 실태조사를 해 응답에 응한 9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대구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