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8일부터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 운영
![]() |
↑ 서울에 위치한 약국의 전경. / 사진=연합뉴스 |
코로나19 재유행으로 신규 확진자가 나날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감기약 수급 불안정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습니다.
7일 대한약사회 등에 따르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주간 코로나19 확진자 수와 비교해 감기약 공급량이 충분하다고 밝힌 것과 달리 일선 현장에서는 여전히 감기약이 부족한 모습입니다.
특히 의사의 처방에 따라 조제하는 전문의약품 중심으로 품절 사태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내부 분석입니다.
실제 대한약사회는 지난 2일 "해열제, 소염진통제 등 감기약 관련 일부 의약품 품절이 지속되고 있다"며 정부 차원에서 의약품 관리 감독을 강화하고 의료계는 처방일수를 조정하는 등의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시각차의 원인은 식약처가 감기약 수급 현황에 따른 치료 가능 환자 수를 계산할 때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을 구분하지 않은 데 있습니다. 현재 수급난이 심각한 건 조제에 사용하는 전문의약품인데, 이 같은 계산 방식으로는 그런 상황이 잘 드러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에 식약처는 8일부터 대한의사협회·대한약사회·한국제약바이오협회·한국의약품유통협회와 함께 '감기약 신속 대응 시스템'을 운영하여 제약사가 보유한 감기약의 공급 가능 여부를 빠르게 파악해 약국에 알리는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지만, 업계 관계자들은
의료 관계자 A씨는 "감기약을 많이 생산해 팔았던 제약사가 연동제로 장기적인 손해를 보게 된다면 팬데믹이 다시 발생했을 때 열심히 생산하지 않을 것"이라며 "코로나로 처방이 늘어난 해열진통제나 호흡기 치료제와 같은 약품에 대해서는 제도를 유예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