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경찰청이 발표한 치안감 인사가 불과 두 시간 뒤에 뒤집어지는 사상 초유의 일이 있었죠.
윤석열 대통령은 국기문란이라며 강하게 질책했는데, 국무조정실의 조사 결과, 행정안전부에 파견 나가 있던 경찰 고위직의 책임으로 결론이 났습니다.
행안부는 이래서 경찰국이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이성식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달 21일 경찰청은 치안감 보직 인사를 공개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2시간 뒤 인사 대상자 28명 가운데 7명의 보직이 수정된 인사를 다시 발표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강하게 질타했습니다.
▶ 인터뷰 : 지난달 23일
- "어이가 없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어떻게 보면 국기문란일 수도 있고…. 인사권자는 대통령입니다. 아직 대통령 재가도 나지 않았고…."
야당은 이른바 '비서실세 개입 의혹'까지 제기하며 파장은 걷잡을 수 없이 커졌습니다.
▶ 인터뷰 : 이해식 / 더불어민주당 의원 (지난달 23일)
- "2시간 동안 인사가 번복될 때에 뭔가의 개입이 있었다. 제가 볼 땐 실세의 개입이다. 이것이 비선 실세냐 대선의 실세냐…."
국무조정실 조사 결과 행정안전부에 파견된 치안정책관이 인사안 전달의 창구 역할을 하는 과정에서 최종안 확인의 책임을 다하지 않은 사실이 확인됐다고 경찰청은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경찰은 치안정책관인 임 모 경무관을 중앙징계위원회에 징계 요구했고, 인사·홍보담당관은 경고 조치했습니다.
행정안전부는 이상민 장관이 이 건에 대해 치안정책관과 상의한 적이 없고, 인사안을 전달한 사실도 없다고 재차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렇기 때문에 행안부 내 경찰국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습니다.
MBN뉴스 이성식입니다.
영상편집 : 이유진
그래픽 : 최진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