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시 1인 가구 수, 전체의 34.9%
![]() |
↑ 기사 내용과 관련없는 이미지. / 사진=연합뉴스 |
서울에 사는 1인 가구 10명 중 6명은 외로움을 경험하고 있다는 통계가 나왔습니다.
서울연구원은 29일 '서울시 1인 가구 외로움·사회적 고립 실태와 대응전략'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해당 보고서에는 서울시 1인 가구 중 외로움을 겪는 비율이 62.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있었습니다. 사회적 고립 비율은 13.6%,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을 동시에 겪는 비율은 12.8%였습니다.
![]() |
↑ 서울시 1인 가구의 성별 및 생애주기별 외로움 비율 분포도. / 사진= '서울시 1인 가구 외로움·사회적 고립 실태와 대응전략' 보고서 발췌 |
지난해 서울시 1인 가구 수는 139만 가구로 전체의 34.9%에 달하고 있습니다.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을 동시에 겪는 비율은 성별로는 남성(13.3%)이, 세대별로는 중·장년(14.4%)이, 소득 수준별로는 월 100만 원 미만(18.1%)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성별·세대·혼인상태를 통틀어서는 중·장년 사별 남성(17.1%)과 중·장년 이혼 또는 별거 남성(17.0%)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여집니다.
연구원은 사회적으로 고립된 1인 가구는 대부분 외로움을 느꼈고, 우울감이 있거나 자살 생각 경험이 있는 1인 가구는 모두 외로움을 느낀다고 분석했습니다.
![]() |
↑ 서울시 1인 가구의 사회적·정신적 건강문제의 유형과 맞춤형 처방. / 사진='서울시 1인 가구 외로움·사회적 고립 실태와 대응전략' 보고서 발췌 |
보고서는 1인가구의 사회적·정신적 건강유형을 4가지로 세분화했습니다. 우선 외로움만 느끼는 외로움군은 45%,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 중 사회적 고립 상태로 진단된 고립군은 10%로 집계됐습니다. 또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 중 우울증이나 자살 생각 등 정신건강 문제를 갖고 있는 외로움 우울군은 5%로 조사됐습니다. 마지막으로 외로움과 고립, 정신건강 문제를 모두 중첩해 갖고 있는 고립우울군은 3%였습니다.
보고서는 유형별로 대책을 달리 해야 한다고 조언하기도 했습니다. 예를 들어 외로움군은 사회적 관계망 형성 및 경제·일자리 연계 중심으로 대응하는 한편, 고립군은 건강한 노후 준비를 위한 건강관리를 지원하는 방식입니다. 또 외로움 우울군과 고립우울군은 마음검진 및 상담을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일반 1인가구의 외로움과 사회적 고립 대응은 기존과 같이 자치구의 1인가구지원센터를 활용하되, 표준 진단도구를 활용해 외로움, 사회적 고립과 같은 정신건강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 "진단된 문제 유형과 위험요인에 따라 적합한 사회적 처방을 내리고 필요한 서비스를 지원·연계해야 한다"
※ 우울감 등 말하기 어려운 고민이 있거나 주변에 이런 어려움을 겪는 가족·지인이 있을 경우 자살 예방 핫라인 ☎1577-0199, 희망의 전화 ☎129, 생명의 전화 ☎1588-9191, 청소년 전화 ☎1388 등에서 24시간 전문가의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고기정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kogijeong@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