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지난 13일 고려대학교에서 청소.주차.경비노동자 문제해결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이 열렸다. [사진 제공 = 연합뉴스] |
22일 대학가 등에 따르면 현재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 내 13개 대학 등 사업장은 지난 3월 말부터 학내 집회와 시위를 이어오고 있다. 지난 20일에는 연세대와 고려대에 이어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부 카이스트 서울캠퍼스분회 소속 청소·경비 노동자들이 기자회견을 열고 시급 770원 인상을 요구하고 나섰다. 고려대학교 청소노동자들은 지난 6일 시급 400원 인상을 요구하며 학교 본관에서 점거 농성을 진행했고, 연세대학교 노동자들은 청소노동자 400원, 경비노동자 440원 인상을 요구하며 지난 4월부터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 |
↑ 지난 19일 연세대학교 청소·경비노동자들이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학교에서 열린 집회에서 생활임금 지급 및 휴게실 개선과 샤워실 설치를 촉구하고 나섰다. [사진 제공 = 연합뉴스] |
현 상황의 근본적인 문제는 대학이 노동자들을 '간접 고용' 형태로 용역 업체를 통해 하청을 맡기는 고용 형태 때문이다. 대학은 용역 업체를 통해 학내 미화·경비 노동자들을 고용하는데, 용역 업체는 원청인 학교와 1~2년 단위로 재계약을 반복하고 있다. 일부 노동자의 경우 '하청의 하청' 구조로 2차 하청업체 소속이기도 하다. 문제는 대학들이 노동자들의 처우 개선 요구에 임금 인상은 하청 업체 소관이라며 책임을 떠넘기고, 용역 업체는 원청인 대학의 의지 부족 탓으로 돌린다는 것이다.
김성희 산업노동정책연구소 소장은 "대학 청소노동자들의 임금이 몇년 째 실질적으로 동결됐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고 있지만 용역 업체에 하청을 주는 간접 고용 구조가 문제 해결을 가로막고 있다"며 "원청인 대학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지만 그럴 의사가 부족하고, 사립대학의 경우 재단이 대학을 수익 창출의 수단으로 보는 형태라 더욱이 노동자들의 임금 인상이 이뤄지지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서울지역 소속 청소·경비 노동자들은 지난해부터 각 대학 용역업체
[박나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