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대란, 최저임금 상승, 국제 곡물가·사룟값 급등이 원인
교촌치킨 일부 가맹점 배달비 33% 인상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
최근 치킨 프랜차이즈들이 잇따라 가격 인상을 발표한 가운데, 일부 누리꾼 사이에서 프랜차이즈 치킨 불매 운동이 등장했습니다.
다수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보이콧 프랜차이즈 치킨', '주문 안 합니다', '먹지 않습니다' 등의 문구가 담긴 불매 운동 포스터 사진이 퍼졌습니다. 해당 사진은 2019년 일본상품 불매 운동 당시 '노재팬'(No Japan·일본 제품 불매운동) 포스터를 패러디한 것으로, 'NO' 부분에는 일장기 대신 치킨이 담긴 그릇 사진이 합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통큰치킨을 잃고 12년, 치킨값 3만원 시대, 소비자는 선택할 권리가 있습니다"라는 문구도 들어가 있습니다. 통큰치킨은 과거 롯데마트가 한 통당 5000원에 판매한 가성비 높은 치킨입니다. 대기업의 치킨업 진출로 소비자를 비롯해 한국프랜차이즈산업협회 등으로부터 강력하게 항의받아 결국 없어졌습니다.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
온라인 커뮤니티 디시인사이드 내 치킨 관련 커뮤니티 '치킨 갤러리'에서 만들어져 여러 곳으로 퍼진 해당 글은 온라인 커뮤니티 '에펨코리아'에 공유된 뒤 반나절 만에 조회수 20만 회를 넘기고 300개 이상의 댓글이 달리는 등 많은 누리꾼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해당 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통큰치킨의 맛과 브랜드 치킨의 맛이 1만원 이상 차이 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치킨 가격 너무 오르긴 했다" "가격 올려도 다들 사 먹으니까 프랜차이즈들이 소비자 눈치 안 보고 가격 올리는 거다"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다만 일부는 “물가 다 올랐는데 치킨이라고 가격 못 올릴 건 뭐냐”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 사진=연합뉴스 |
지난해 말부터 BBQ, BHC, 교촌치킨, 네네치킨, 굽네치킨, 멕시카나, 또래오래, 지코바 등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치킨 가격을 인상하는 추세입니다. 이달 들어 교촌치킨의 일부 가맹점이 배달비를 기존 3000원에서 4000원으로 인상했습니다. 굽네치킨은 올해 들어 3번째 가격 인상에 나섰습니다. 글로벌 치킨 프랜차이즈 KFC도 징거버거 가격을 4900원에서 5300원으로 올렸습니다.
업계 측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물류 대란, 최저임금 상승, 국제 곡물가와 사룟값 급등 등을 가격 인상 원인으로 꼽았습니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프랜차이즈에 납품되는 10호 닭고기 평균 거래가격(염지비·절단비·포장비·부가가치세 등 미포함)은 작년 12월 2983원에서 올해 5월 3518원으로 17.9% 올랐습니다. 그러나 소비자들은 "배달비 합치면 치킨값 2만원은 훌쩍 넘는 시대가 왔다"며 불만의 목소리를 냈습니다.
윤홍근 제너시스BBQ 회장은 지난 3월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치킨값이 3만 원은 돼야 한다"면서 이러한 원가 부담을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윤 회장의 해당 발언은 빈축을 샀지만 그는 "생계 시세가 4160원이고 도계비 1000원을 보태면 5160원, 치킨 한 마리를 튀길 때 파우더는 2000원,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유는 3000~4000원어치 들어간다"고 설명했습니다.
↑ 사진=연합뉴스 |
한편, 최근 국내 치킨 프랜차이즈 1위인 교촌치킨의 일부 가맹점이 배달비를 기존 3000원에서 4000원으로 33% 인상하면서 소비자들의 질타와 우려가 쏟아졌습니다. 교촌치킨이 지난해 11월 메뉴 가격을 평균 8.1%(품목별로 500~2000원) 인상한 데 이어 배달비까지 인상했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교촌치킨은 이번 배달비 인상이 본사 방침과 별개라고 선을 그었으나, 업계에서는 시중 배달비 추가 인상의 신호탄 격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소비자들 사이에서는 배달비 인상이 교촌치킨에서 다른 프랜차이즈로 확대될 것이란 전망도 나왔습니다.
국내에서 '배달비'라는 개념이 자리 잡은 건 지난 2018년 5월 교촌치킨이 '배달비 2000원'을 공식화하면서부터입니다. 기존에도 일부 프랜차이즈 업체나 사업장
소비자들의 배달비 부담이 날로 가중되는 가운데, 한국행정연구원이 지난 1월 실시한 '배송·배달 서비스 관련 국민인식조사'에 따르면 소비자 2000명 중 53%가 '(현행 배달비가) 적절하지 않다'고 응답한 바 있습니다.
[안유정 디지털뉴스부 인턴기자 dbwjd5550@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