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밤에 발표 이뤄져…시민들에게 전달되지 못했다는 비판 목소리 ↑
![]() |
↑ 석동저수장에서 깔따구 유충으로 추정되는 물질이 발견되며 창원시가 긴급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 사진=창원특례시 |
경남 창원시가 진해 주민들에게 수돗물을 공급하는 석동정수장에서 유충이 발견된 것에 대해 늑장대응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창원시는 지난 8일 오후 10시 40분 공식 유튜브 채널 '추천창원'에서 긴급 브리핑을 통해 석동정수장에서 깔따구로 추정되는 유충이 발견됐다는 사실을 시민들에게 알렸습니다.
그러나 석동정수장에서 유충이 발견된 시점은 브리핑 36시간 전인 7일 오전 10시경입니다.
야밤에 급히 발표가 이뤄지면서 시민들에게 제대로 전달되지 못했다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날 오후 1시 30분 현재 해당 유튜브 동영상 조회 수는 800회를 넘겼습니다. 석동정수장에서 생산된 수돗물은 용원을 제외한 진해지역 6만 5,300세대, 15만 3,00여명에게 공급되고 있습니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와 낙동강경남네트워크는 9일 보도자료를 통해 "시민들이 반드시 알아야 하는 사실을 창원시는 사고 발생 하루가 훨씬 지나서, 그것도 시민들이 인지하기 어려운 한밤중에 공개했다"고 지적했습니다. 창원물생명시민연대 등 시민단체는 정수장 유충 발생 원인으로 낙동강 퇴적토 오염과 녹조를 꼽았습니다.
창원시는 유충 추가 발생 등을 막기 위한 조치를 서두르는 과정에서 시간이 흐른 것이지 의도적으로 공개를 지연시킨 것이 아니라는 입장입니다.
창원시 관계자는 "(이례적인) 유충 발생 이후 내부적으로 대응 방안을 찾고 시행하는 과정에서 시간이 그렇게 된 것"이라며 "외부에 알리기 전에 최소한의 필요한 절차와 정리를 거쳤고, 정말 쉼 없이 대응하고 있다"고 해명했습니다.
유충 발생 3일째인 이날까지 진해지역 가정에서 접수된 유충 발생 신고는 아직 없으나 창원시는 발생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습니다.
창원시는 진해 주민들이 수돗물 음용 시 반드시 끓여 먹을 것을 당부했습니다.
앞서 창원시는 유충 발생 사실이 확인되자 환경부 유충발생 예방 및 대응 매뉴얼에 따라 7가지 긴급조치에 들어갔다고 밝혔습니다.
먼저 유충의 불활성화율을 높이기 위해 염소 투입을
또 유충 제거를 위해 잔류염소 2ppm인 물을 사용해 급속여과지 10개소, 활성탄여과지 6개소를 역세척하는 한편, 침전지 2개소를 청소했습니다.
석동정수장 외에 대산정수장, 칠서정수장에 대해서도 유충 발생 여부를 확인했지만 이들 정수장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