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된 참달팽이는 껍데기에 띠무늬가 있는 형태와 무늬가 없는 형태로 발견된다. 둘 모두 같은 종이다. [사진 제공 = 환경부] |
8일 환경부는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서 인공증식한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 참달팽이 20마리를 8일 오전 전남 신안군 홍도 원서식지에 방사한다고 밝혔다.
참달팽이는 지난 2005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2급으로 지정됐다. 참달팽이는 다도해해상 국립공원에 속한 홍도의 마을 인근에서만 발견되는 고유종이다. 개체밀도가 가장 높은 서식지에서도 100㎡당 5마리만 발견될 정도로 개체 수가 매우 적다.
환경부 산하 멸종위기종 복원센터는 2018년 홍도에서 참달팽이 5마리를 도입해 기초생활사를 규명하고, 2020년에는 이를 12마리까지 인공증식했다. 이후 올해에는 참달팽이를 65마리까지 늘렸다. 이번 방사에서는 가장 건강한 준성체 20마리를 방사하며, 이들의 껍데기 크기는 약 1.5~2cm다.
국립생태원 연구진은 이번에 방사하는 참달팽이 20마리에 무선개체식별장치 발신기(PIT-tag)를 부착할 예정이며, 활동 시기인 10월까지 한 달 간격으로 야생 적응 여부를 확인할 계획이다. 발신기는 참달팽이 생장에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디자인됐다.
또한, 홍도 야생에서 서식하는 20마리에도 발신기를 부착을 추진한다. 이들의 월별 생존·성장률 및 이동특성 등의 자료를 인공증식 개체와 비교·분석하는 연구를 통해 야생 적응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참달팽이는 민가 근처에서 자주 발견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장과 생존에 필수적인 칼슘을 섭취하기 위해 민가의 콘크리트가 있는 지역을 자주 찾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이를 고려해 홍도 주민 생활터전과 멀지 않은 자연환경보전지역에 참달팽이를 방사한다.
환경부는 이 같은 멸종위기종을 증식해 자연으로 돌려보내기 위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생태계는 하나의 그물망처럼 서로 촘촘히 엮여 있다. 그물망이 하나둘씩 끊어지면 점점 약해지는 것처럼 생물종도 하나씩 없어지면 생태계의 균형을 잃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번에 방사하는 참달팽이도 환경변화를 측정할 수 있는 생물학적 지표로서 잠재력을 갖고 있는 만큼, 생물종 보전을 통해 생물다양성을 지키겠다는 계획이다.
국립생태원은 이번 참달팽이 방사의 의미를 널리 알리기 위해 '홍도 섬 원추리꽃 축제(7월 8일~17일)' 개막 일정
[송민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