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신저자 윤성로 교수 "표절 발견하고 철회…서울대에 징계 요청"
![]() |
↑ 서울대학교 정문. / 사진=연합뉴스 |
윤성로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최근 해외 인공지능(AI) 학회에 표절 논문을 제출한 사실을 인정하고 논문을 철회했습니다. 윤 교수는 국내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의 대표적인 권위자로, 문재인 정부에서 4차산업혁명위원회 민간위원장을 지내기도 했습니다.
윤 교수 연구팀은 지난 19~24일 미국에서 열린 '국제 컴퓨터 비전 및 패턴 인식 학술대회(CVPR·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2022'에 '신경망 확률미분방정식을 통해 비동기 이벤트를 빠르게 영속적인 비디오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기법'이란 제목의 논문을 제출했습니다. 해당 논문은 불규칙하고 연속적이지 않은 정보 변화를 AI 기술로 더 빠르고 정확하게 비디오 영상으로 재구성하는 방법을 소개하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CVPR에서는 해당 논문을 우수 발표 논문으로 선정됐고, 지난 23일 공식 발표됐습니다. 하지만, 지난 24일 이 논문이 2018년부터 2021년까지 발표된 국내·외 논문 10여 편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담긴 동영상이 유튜브에 올라왔습니다.
윤 교수는 어제(25일) 언론과의 통화에서 "표절이 맞다"고 시인하면서 "논문은 혼자 쓰는 것이 아니라 여러 명이 역할을 나누고 부분별로 취합해 쓰는데, 취합한 제1 저자가 다른 공저자들이 제출한 내용을 그대로 반영하지 않고 기존에 발표된 논문들을 가져다 붙였다"고 해명했습니다. 이어 "제1 저자가 성과를 내려는 압박 때문에 그런 것 같다"며 "공저자들도 뒤통수를 맞은 상황"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논문의 제1 저자 또한 표절 사실을 시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윤 교수 측은 논문을 철회하고 서울대에 징계위원회를 열어달라고 요청했다고 밝혔습니다.
CVPR 측도 트위터에 논문 게재 철회
CVPR은 IEEE와 국제컴퓨터비전재단(CVF)이 공동주최하며, AI 분야 최고 학술대회로 꼽힙니다.
온라인 상에서는 연구진에 대한 비판과 함께 표절을 잡아내지 못한 학술대회 주최측 역시 책임을 면할 수 없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