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19일 인사처는 "새 정부의 규제혁신 시스템의 일환으로 공직사회 행태와 문화를 혁신하기 위한 공직문화 혁신방안 마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24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주재한 규제혁신 장관회의에서 정부 관리시스템 혁신이 논의된 것이 계기가 됐다.
인사처는 우선 연말까지 기관별 공직문화 현황을 가늠할 지표를 개발하고, 내년부터 개별 기관에 대한 진단에 들어간다. 기존에는 기관의 인사혁신 수준을 진단하는 지표가 있었지만, 이는 인사제도 운영 관련 정량지표로 구성돼 공직문화를 판단하기가 어려웠다. 새로 도입될 지표는 공직사회의 인식·행태와 관련된 정성지표 위주로 구성돼 실질적인 공직문화 변화에 중점을 둘 방침이다. 혁신이 미흡한 것으로 진단된 기관에 대해선 원인 분석을 통해 이를 개선하도록 하고, 인사정책 수립의 근거로 활용하는 등 과학적 인사시스템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모색한다.
또 인사처는 국민이 체감하는 공직문화 혁신 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내부적으로는 MZ세대와 특정직, 민간 경력채용 공무원 등의 의견을 듣는 한편 일반 국민과 정책자문위원 등 외부
김승호 인사혁신처장은 "규제혁신의 성공은 규제 주체인 공직자의 의식·행태의 변화가 핵심적 요소라는 점에서 이번 기회에 인사체계 전반을 점검해 적극행정, 자율행정, 생산성 중시 행정으로 공직문화를 탈바꿈해 나가는 전기로 삼을 것"이라고 말했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