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역사관, 다른 차원으로 확대…동북공정 원래 개념으로만 사용하자"
![]() |
↑ 동북아역사재단 / 사진= 동북아역사재단 홈페이지 갈무리 |
동북아역사재단이 중국의 동북공정(東北工程) 이후 한국사 왜곡이 심화하고, 한중 갈등의 골이 깊어졌다는 분석을 발표했습니다.
오늘(17일) 김현숙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재단이 개최한 '동북공정 20년 평가와 과제' 학술회의에서 "5년짜리 동북공정 프로젝트는 종료됐지만, 중국의 영토 중심적 사관에 근거한 왜곡된 한국사 인식은 계속되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동북공정 종료 이후에도 계속되는 중국의 자국 중심 역사 인식을 점검, 그 변화 양상을 검토해 향후 우리 학계의 대응 방향을 전망하기 위해 기획됐습니다.
동북공정은 중국 사회과학원 산하 '중국변강사지연구중심' 주도로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추진됐습니다. 중국은 동북공정을 통해 랴오닝성, 지린성, 헤이룽장성으로 구성된 동북 3성의 역사, 문화, 지리, 민족, 강역 문제를 연구했습니다.
김 위원은 "동북공정 초기에는 편향성 강한 사료를 채택해 정해진 이론에 끼워 맞춘 논문이 적지 않았으나, 최근에는 자료를 차분히 논증하고 분석한 글이 많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동북공정 이후 동북 지역 역사서 출간, 역사 유적 정비, 박물관 개관·보수가 이뤄졌다고 진단했습니다.
김 위원은 동북 지역 연구자들이 개별 연구와는 별도로 사료를 집대성한 결과물을 내놓고 있다는 점도 우려했습니다. 그는 "시진핑 집권 이후 중화 문명의 우수함을 알리려는 정책이 시행되면서 한중 갈등은 동북공정 시기보다 더 심해졌다"며 "역사와 문화를 둘러싼 양국 갈등은 이미 동북공정 차원을 넘어섰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그는 "중국의 자민족 중심주의, 패권주의 역사관이 이미 다른 차원으로 확대된 상황에서 계속 동북공정이란 용어로 중국을 비판하면 중국 측 의도의 일부분만 보는 우를 범할 수 있다"며 연구 프로젝트 명칭인 동북공정을 본래 개념으로만 한정해 사용하자고 제안했습니다.
학술회의에서는 연구자들이 중국 학계의 고조선·부여사, 고구려사, 발해사, 백제사 연구 현황을 평가하고, 백두산 역사와 문화를 중국 시각으로 해석한 '창바이산문화론' 등을 고찰하기도 했습니다.
![]() |
↑ 이영호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 사진=연합뉴스 |
이영호
이어 "학술회의 성과가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과 일본 등에서도 울림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