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철성 교수 "서울대 반도체 교수 고작 10여 명…계약학과 현실성 없어"
↑ (오전 교육부에서 주재한 '반도체 산업 생태계와 인재수요' 포럼이 열리고 있는 정부세종청사. 출처 : 연합뉴스) |
교육부가 오늘(1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반도체 산업 생태계 학습과 인재 수요' 공개 포럼을 열고 학계 및 산업계 전문가들과 반도체 인재 양성 방안에 관해 의견을 나눴습니다.
교육부의 모든 직원이 참여 가능한 자리로, 인재양성 주관 부서로서 과학기술 및 산업 현장과 소통을 강화하려는 취지입니다.
포럼에서는 정부가 주장한 '대학의 반도체 학과 정원 확대만이 능사가 아니다'라는 지적이 쏟아졌습니다.
인력 양성을 위해 정원을 늘리더라도, 당장 이들을 가르칠 교수가 없다는 겁니다.
↑ {포럼에서 발언중인 황철성 서울대 석좌교수. 출처 : 연합뉴스) |
반도체 석학인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는 '교원 부족' 문제를 최우선으로 지적하며 석·박사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오는 2023년부터 2032년까지 근 10년 간 반도체 전문 인력은 5천 565명 부족할 전망인데, 그간 정부 투자 부족으로 교원도 부족하고 인력 양성이 되지 않고 있다는 게 황 교수의 설명입니다.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주요 대학에서 반도체 '계약학과'를 설립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이는 임시 학과라 정규 교수 선발로 이어지기 어려워 현실성이 없다고 지적했습니다.
황 교수에 따르면 반도체를 연구하는 교수는 전국에 400∼500명에 불과하며, 서울대 공대만 따져도 교수 약 330명 중에 반도체를 주력으로 연구하는 교수는 10여 명에 불과한 실정입니다.
현재 국내 4년제 대학 중 2023학년도에 반도체학과 신입생을 모집하는 학교는 28곳, 총 1382명의 신입생을 모집하는데 이들이 졸업하는 4~6년 후에도 전문 인력은 8천여 명이 부족할 전망입니다.
그러면서 "어렵고 시간이 많이 들더라도 반도체를 연구하는 교수가 충분한 연구활동을 할 수 있게 지원해 석
서울대에서 반도체 전공 과정을 밟고 있는 대학원생 박솔아 씨도 "대학원 단계에서부터 외국으로 가려는 학생이 많다"며 "인력 유출을 막으려면 국내·외에서 좋은 연구성과를 내는 교수님을 많이 영입해주셨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심가현 기자, gohyun@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