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상공회의소 전경 [사진 제공 = 부산상공회의소] |
부산상공회의소는 15일 MZ세대(1980~2000년대생)와 기업의 일자리 미스매칭 실태를 조사한 '부산지역 MZ세대 구직자와 기업의 일자리 인식 조사' 자료를 발표했다. 조사는 부산지역 MZ세대 구직자 200명과 지역기업 15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조사에 따르면 지역 중소기업 대다수가 MZ세대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정작 MZ세대는 부산에서 일하고 싶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응한 기업 중 74.7%가 MZ세대 채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이 중 12.6%는 아예 채용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반면 MZ세대 10명 중 8명(77.5%)은 부산에서의 취업을 희망했다. 이런 일자리 미스매칭의 1차적인 원인은 임금에 있었다. MZ세대 채용이 쉽지 않은 원인으로 조사 기업의 39.0%가 '낮은 임금수준'을 꼽아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기업 스스로 청년 채용이 힘든 가장 큰 원인이 임금인 것을 알고 있는 것이다.
![]() |
↑ 부산 청년들이 취업을 결정할 때 가장 고려하는 요인 [자료 제공 = 부산상공회의소] |
결국 기업과 MZ세대 간 임금 미스매치를 해결하려면 사람을 구하기 어려운 2600만원 미만 기업의 임금을 구직자가 더 많은 2800~3200만원 구간 평균 임금인 약 3000만원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가장 현실적인 해법이라고 부산상의는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조사에서 10명 중 3명 가량(30.5%)은 부산 중소기업에 취직할 생각이 전혀 없다고 밝히기도 했다.
MZ세대들은 공공서비스업(36.0%)이나 기타서비스업(21.5%), IT·정보통신업(18.0%), 금융업(12.0%) 등에 취업 선호가 높았던 반면 제조
[부산 = 박동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