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박찬호 광주지검장 [사진 제공 = 연합뉴스] |
박 지검장은 7일 검찰 내부망인 이프로스에 '사직 인사'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검수완박' 국면에서 검찰 고위직의 한 사람으로서 직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결심한 바 있다"며 "여러 사정을 고려한 끝에 이제 검사직을 내려놓고자 한다"고 밝혔다.
박 지검장은 대검찰청 중앙수사부 등에서 윤 대통령과 함께 일했고 윤 대통령이 서울중앙지검장이던 2017년에는 중앙지검 2차장검사로 부임해 선거·노동 범죄를 수사했다. 2019년 윤 대통령이 검찰총장에 오른 뒤에는 검사장인 대검 공공수사부장으로 승진했다. 당시 그는 울산시장 선거를 둘러싼 '청와대 하명수사·선거개입' 의혹 수사를 지휘하며 여권의 반발을 샀고, 이어진 인사에서 제주지검장으로 좌천됐다. 이같은 인연 때문에 윤 대통령이 당선된 뒤 이두봉 인천지검장, 이원석 대검 차장검사 등과 함께 차기 총장 하마평에 올랐다.
박 지검장은 "검사로 임용된 후 외부기관 파견이나 유학도 없이 '굽은 나무가 선산을 지킨다'는 마음으로 오로지 검찰 내에서만 일하며 버텼다"며 "검사로서 스스로 떳떳하고 부끄럽지 않도록 최선을 다했지만 부족함을 반성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밝혔다.
그는 "검사로 재직하는 동안 법과 원칙에 근거해 공정성, 중립성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고 그에 어긋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며 "그러나 최근에 우리 사회에 정치적 진영논리가 '블랙홀'처럼 모든 것을 집어삼켜 법치가 무너져가고, 검찰의 정치적 중립과 독립이 심각하게 왜곡되고 훼손되는 것을 보면서 너무 괴로웠다"고 강조했다.
9월 시행을 앞둔 검수완박법에 대해 비판적 의견도 밝혔다. 그는 "우리 사회의 안정과 발전을 위해 사적영역, 사법영역 등 비정치적인 영역에는 정치적 진영논리를 근거로 시시비비를 해서는 안 된다"며 "나라와 국민을 위해 검수완박 등 최근 일방적으로 진행된 형사사법제도 변경은 반드시 재고돼야 한다"고 썼다.
박 지검장은 "검사로서 받은 은혜가 너무 커 그 나머지 허락받은 것을 돌려드리고 싶다"면서도 "제 사직이 다른 의미로 해석되거나 또 다른 이야깃거리가 되지 않기를 희망한다. 밖에서도 나라와 국민을 위해 검찰을 항상 응원하고, 기회 있을 때마다 힘을 보태겠다"고 부연했다.
한편 윤 대통령과 각을 세웠던 검찰 간부들의 이탈도 이어지고 있다.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 시절이던 2020년 법무부 감찰담당관으로 재직하면서 윤석열 당시 검찰총장의 감찰·징계 청구를 주도한 박은정(50·29기) 성남지청장도 최근 법무부에 사직 의사를 표명하고 명예퇴직을 신청했다. 검찰 내 '반윤(反尹)' 인사로 꼽히는 박 지청장은 남편인 이종근(53·28기·법무연수원 연구위원 겸임) 대구고검 차장검사와 함께 문재인정부 시절 '친정권 검사'로 분류됐다. 박 지청장은 감찰·징계 청구 과정에서 직속 상관인 감찰관에 보고하지 않고 윤 당시 총장에 대한 대면 조사를 추진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홍혜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