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는 단백질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 치매 치료를 위한 '골든타임'을 밝힐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최초로 개발됐다.
이러한 내용을 담은 성준경 고려대 인공지능학과·바이오공학부 교수 연구팀의 논문이 19일(현시시각 기준)미국의 과학저널 '셀 뉴런(Cell Neuron)'에 게재됐다.
논문에 따르면 치매를 유발한다고 알려진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은 독성을 지닌 '타우 단백질'에 원격으로 영향을 미쳐 치매를 가속화한다. 응집된 타우는 베타-아밀로이드의 영향을 받아 신경망으로 연결된 주위 영역으로 조금씩 전파되고, 어느 시점을 지나면 대뇌의 대부분 영역으로 '슈퍼전파'가 일어나게 된다. 슈퍼전파가 일어나면 대뇌의 신경세포가 죽어서 소멸하는 것을 막을 수 없게 돼 치매를 되돌릴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슈퍼전파가 일어나기까지의 '골든타임'을 알아내는 것이 치매 치료의 중점 과제였지만,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베타-아밀로이드와 타우가 서로 어떤 상호작용을 하는지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이전까지 두 단백질은 개별적으로 치매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만 파악됐다. 베타-아밀로이드는 대뇌에 침착되면 10~20년 이후에 대뇌 신경세포가 소멸하고 인지기능이 저하되는 일종의 '선행지표'로 알려져 치매 조기진단에 활용돼왔다.
성 교수는 "지금까지 치매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원인 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를 제거하면 된다는 생각에 글로벌 제약회사들이 25년 넘게 50조원 가까운 자금을 들여 치료제를 개발했지만 실패했다"며 "이번 논문에서는 베타-아밀로이드를 표적으로 하
[박홍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