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 '검수완박' 법안 처리가 카운트다운에 들어가면서 서초동에는 긴장감이 맴돌고 있습니다.
어제(17일) 김오수 검찰총장이 사의를 표명하자 오늘은 고검장들이 긴급회의를 소집했습니다.
대검찰청에 나가 있는 취재 기자 연결합니다.
【 질문1 】
민지숙 기자, 고검장 회의 결과가 발표됐습니까?
【 기자 】
네 김오수 총장은 조금 전 7시쯤 대통령과의 면담을 마치고 대검찰청으로 돌아왔습니다.
김 총장은 검찰 구성원을 대표해서 검수완박 법안에 문제에 대해 상세하고 충분하게 설명했다고 밝혔는데요.
총장의 복귀에 앞서 오후 4시쯤 논의를 끝마치고, 대통령과의 면담 결과를 기다리고 있던 전국고검장들도 잠시 뒤 회의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보입니다.
오전 9시 반에 시작된 오늘 회의에는 이성윤 서울고검장을 비롯해 전국 6명의 고검장이 전원 출석했는데요.
연차를 내고 출근하지 않았던 김 총장도 대통령과의 면담에 앞서 대검에 출근해 간부들과 의견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인터뷰 : 여환섭 / 대전고검장
- "국민의 권익과 관련 기본법을 개정하는 데 있어 그 흔한 공청회 하나 개최하지 아니하고…2주 만에 추진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냉정한 이성을 되찾기를 기원합니다."
【 질문2 】
검찰 간부급 뿐만 아니라 일선 검사들의 반발도 이어지고 있다면서요?
【 기자 】
그렇습니다.
검찰은 비공개로 운영되는 내부 게시판의 내용들을 적극적으로 언론에 알리며 '검수완박'법안의 폐해를 알리는데에 총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권상대 대검찰청 정책기획과장은 "마지막 관문인 대통령과 국회의장께 호소문을 작성해 전달해보려고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한 부장검사는 "대통령 이전에 법률가였던 대통령께서 형사사법 체계를 파괴하는 일에 입장을 분명히 밝혀주시는게 역사에 겸허히 책임을 지는 것"이라고 강조했고요.
또 다른 검사는 자신을 문 대통령에 표창을 받았던 검사로 소개하며, "수사를 할 수 없는 자신을 차라리 경찰서로 보내달라"며 절박함을 호소했습니다.
대검찰청은 오는 20일까지 이 호소문들을 모아 문 대통령께 보낸다는 계획입니다.
내일(19일) 저녁 7시 서울중앙지검에서 전국 평검사회의가 열리는데요.
전국 18개 검찰청 150여 명의 일선 검사들이 모일 예정이어서 이른바 '검란'으로 비화될지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지금까지 대검찰청에서 MBN뉴스 민지숙입니다.
영상취재: 강두민 기자
영상편집: 이재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