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른바 '가평 계곡 살인 사건'을 수사 중인 인천지검의 부장검사가 "억울한 일을 당해도 국가가 해줄 수 있는게 없다며" 검수완박에 대한 반대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김창수 인천지검 형사2부 부장검사는 검찰 내부망(이프로스)에 "먼저 이은해와 조현수를 빠르게 체포하지 못해 유족과 국민 여러분들에게 죄송하다"며 운을 뗀 뒤, 해당 사건을 검찰이 직접 수사하게 된 과정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김 부장검사는 "첫째로 공조할 경찰서가 없었다"며 "가평서와 일산 서부서는 인천지검과 무관한 경찰서였고, 이은해 등의 주민등록지를 관할하는 인천 소재 경찰서들 역시 1차 수사를 하지 않은 상황이라 적극 협조 요청이 어려운 상태였다"고 언급했습니다.
이어 "증거 파악의 문제도 있었다"며 "검찰 수사팀에서는 일산 서부서에서 송치한 디지털 자료를 2개월 반 동안 분석했고, 그 과정에서 새로운 살해시도를 밝힐 수 있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면서 김 부장검사는 "현장 수사에 밝고 강점이 있는 경찰과 달리, 검찰은 보다 차분하게 증거물을 들여다보고 진정한 의미를 밝히는데 강점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는 이런 과정을 통해 "겨우겨우 증거를 확인하게 됐고, 이후 자신 있게 공개수사도 진행할 수 있었다"면서 최근 민주당이 추진 중인 검수완박이 현실화되면 이런 수사가 힘들어질 것이란 점을 내비쳤습니다.
김 부장검사는 "검찰 수사가 불가피한 영역은 어느 의원님 말씀처럼 '증발'할 것"이라며 "이 증발 때문에 평생을 착하게 살아오신 분들이 억울한 일을 당해도 국가가 해 줄 것이 없을까 봐 걱정된다"고 언급했습니다.
또 "검찰 수사를 통해 억울함을 풀고 진실을 밝히는 것도 계속 가능하면 좋겠다"며 검수완박 반대 입장을 내비쳤습니다.
마지막으로 김 부장검사는 "검찰 수사기능이 폐지되는 불상사는 없어야 하겠지만, 법률이 통과되더라도 그 이전에 이은해 등을 붙잡아 법정에 세워 죗값을 치르게 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 길기범 기자 road@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