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기사 내용과 무관한 참고 이미지. / 사진=연합뉴스 |
1인 가구가 다인 가구에 비해 삶의 질이 낮을 가능성이 높고, 그중에서도 특히 남성이 여성보다 삶의 질이 더 나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오늘 대한가정의학회에 따르면 서울아산병원 가정의학과 선우성 교수 연구팀은 2016∼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19세 이상 성인 1만7478명(남성 7616명·여성 9862명)의 데이터를 분석해 이러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대한가정의학회지'(KJFP)에 논문으로 발표했습니다.
전체 연구 대상자 중 2162명은 1인 가구, 1만5316명은 다인 가구였습니다. 1인 가구의 성별은 남성 848명(49.6%), 여성 1314명(50.4%)으로 근소한 차이입니다.
1인 가구 중 65세 이상이 1037명(48.0%)으로 절반 정도를 차지했고, 가구 소득(4분위로 분류)으로는 상대적으로 소득이 낮은 1분위에 해당하는 비율이 높았습니다.
![]() |
↑ 노인 1인 가구. / 사진=연합뉴스 |
연구팀은 이들의 삶의 질을 'EQ-5D' 척도로 평가했습니다. 'EQ-5D'는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편, 불안·우울 등 5가지 항목에 대한 지장 여부를 파악하는 방식입니다.
그 결과 1인 가구는 모든 항목에서 다인 가구에 비해 운동능력, 자기관리, 일상 활동, 통증·불편 등 삶의 질의 신체적인 부분과 불안·우울과 같은 정신적인 측면 모두에 지장이 있을 확률이 유
또 성별에 따라 삶의 질 저하와 가장 크게 연관된 항목이 달랐습니다. 1인 가구 남성은 자신을 돌보는 등의 '자기관리'에서, 여성은 일과 여가 등 '일상 활동'에서 다인 가구에 비해 삶의 질이 낮을 위험이 컸습니다. 같은 1인 가구라도 남성은 5가지 항목 모두 여성보다 더 크게 지장이 있다고 나타났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