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이 치러진 2일 서울 시내 한 고등학교에서 수험생들이 시험장 밖으로 나오고 있다. [사진출처 = 연합뉴스] |
2일 인사혁신처에 따르면 이날 치러진 국가공무원 9급 공개경쟁채용 필기시험에는 16만 5524명이 지원해 29.2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이번에 선발하는 총 인원은 5672명이다.
다만 이날 시험의 실제 응시자는 77.1%인 12만 7686명에 그쳤다. 이 응시율은 지난해 78.9%보다 1.8%포인트 낮은 것이다. 코로나19가 확산을 시작했던 2020년 응시율은 70.9%였다.
이날 시험을 치른 응시자 중 코로나19 확진 인원은 1161명이었다.
인사혁신처는 9급 국가공무원 시험의 평균 경쟁률이 30대1 이하로 내려간 건 1992년(19.3대1) 이후 처음이라고 설명했다
2011년에는 93.1대 1까지 치솟으며 안정적인 직장을 바라는 젊은이들에게는 꿈의 직장으로 여겨졌던 공무원은 매년 경쟁률이 하락했다.
최근 5년간 경쟁률은 2018년 41대1, 2019년 39.2대1, 2021년 35대1 이었다 .
인사처가 뽑는 경쟁률 하락 원인으로는 2030 세대 인구의 감소와 공무원 연금제도 개편 등으로 보고 있다. 자발적으로 퇴사하는 젊은 공무원도 늘고 있습니다.
공무원연금공단에 따르면 2020년 18~35세 공무원 가운데 5961명이 퇴직했다. 이는 2017년 4375명에 비해 크게 늘어난 수치이며 5년 이하 재직 중 퇴직자는 9968명으로, 전체 퇴직 공무원의 21%를 차지
2021년 11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사회조사결과'에서 만 13~34세가 가장 근무하고 싶은 직장은 대기업(21.6%)으로 나타났다. 2위는 공기업(21.5%), 3위는 국가기관(21%)이었다. 이 조사에서 공무원이 1위 자리를 내준 것은 2006년 이후 15년 만이었습니다.
[김승한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