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인력 못 구한 학교, 인력 부족한 상태로 급식 강행하기도
![]() |
↑ 기사와 관계없는 이미지 / 사진=연합뉴스 |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한 대유행 정점 구간에 진입하면서 급식에 차질이 발생하는 학교가 계속해서 나오고 있습니다. 급식 조리종사자가 다수 확진되는 가운데 대체인력을 구하는 것과 관련해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교가 늘어나는 상황입니다.
오늘(24일) 전국학교비정규직노동조합(학비노조)이 14~18일 서울·경남·강원 지역 초·중·고등학교 1374개교의 급식 조리종사자 현황을 조사한 결과 657개교에서 코로나19 확진·격리 등으로 인해 결원이 발생했습니다. 결원 발생 학교의 57.6%인 379개교는 대체인력을 구하지 못했습니다.
서울에서는 초등학교 467개교 가운데 237개교에서 급식 조리종사자 결원이 발생했습니다. 이 중 인력난 등으로 대체인력을 구하지 못한 학교는 42.6%인 101개교입니다.
동일 기간 강원 지역에서 조사한 초·중·고등학교 70개교 중 28개교에서 급식 조리종사자 결원이 발생했고 16개교(57.1%)에서 그 결원을 채우지 못했습니다.
경남 지역의 경우 초·중·고등학교 837개교 중 392개교에서 급식 조리종사자 확진자가 나와 결원이 발생했는데 대체인력을 구하지 못한 학교는 262개교(66.8%)입니다.
당초 교육부에서는 학교 핵심인력인 급식 조리종사자가 확진되거나 격리됐을 때를 대비해 학교별 업무연속성계획을 마련하도록 했습니다.
한편, 급식 조리종사자가 1~2명 격리될 경우에는 학교와 교육청 대체인력 풀을 활용해 공백을 메웁니다. 다만 전체가 격리됐을 시에는 단축수업 등 학사일정을 조정하거나 대체식을 제공하는 방안으로 운영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도시락 지참도 가능하게끔 했습니다.
실제로 급식 조리종사자 대체인력을 구하지 못한 학교들에서는 길게는 일주일까지 대체식을 제공 중입니다.
하지만 대체식이 빵, 떡, 음료 등 간편식으로 제공되면서 학부모 사이에서는 '부실급식'이라는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같은 상황 속 대체식을 구하는 것조차도 쉽지 않습니다. 개학날부터 급식조리종사자 4명이 확진돼 대체식을 제공했다는 서울의 한 초등학교 교장은 "한꺼번에 많은 양의 빵, 떡 등 대체식이 필요하다 보니 업체들도 물량이 달려 대체식 업체를 구하는 것도 어려웠다"고 밝혔습니다.
심지어 급식실 조리종사자 인력이 부족한 상태로 정상급식을 강행하는 학교들도 생겨났습니다.
이 같은 급식실 조리종사자 인력난에 학비노조는 "학교 현장에서는 학교, 교육청 대신 노동자가 직접 대체인력을 구하고 있고 그럼에도 대체인력 문제가 해소되지 않고 있다"며 "실효성 있는 대체인력 제도를 교육당국에 수년째 요구하고 있으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최근 논평에서 "급식실 조리실무사가 확진된 경우 대체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무리하게 급식을 강행하는 등 학교 혼란은 이루 말할 수 없다"며 "확진·등교중지 학생 수 비율뿐 아니라 교직원 비율도 원격수업 전환의 기준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