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포항-대구-구미를 잇는 WBG(와이드갭) 반도체 산업 생태계 조성 구상도. [사진 제공 = 경북도] |
WBG반도체는 기존 실리콘 소재 반도체보다 초고속과 고효율, 고온, 극한 환경에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다. 차세대 이동통신과 항공우주, 국방, 차량용 반도체 시장 등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반도체다. 특히 TV, 휴대폰, 전기차 등 기존 산업이 전력 고효율화와 전력밀도증진, 배터리수명연장 등의 요구가 커지면서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WBG 반도체가 주목 받고 있다.
21일 경북도에 따르면 WBG반도체 생태계 조성을 위해 5대 전략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경북도는 WBG 반도체 소재별 제조 플랫폼을 구축해 국내 유일의 탄화규소 웨이퍼 생산 공급업체인 KEC, 예스파워테크닉스 등과 협력체계를 마련한다. WBG 반도체는 탄화규소, 질화갈륨, 산화갈륨 등을 반도체 소재로 사용한다.
또 WBG반도체는 중소·중견기업의 비즈니스 모델에 적합한 만큼 산학연관 협업 강화를 통해 전주기 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간다. 글로벌 기술 경쟁력을 강화를 위해 WBG반도체 융합연구원도 설립해 소재-설계-공정-테스트 등 수요형 공동 연구도 추진한다.
WBG반도체를 다양한 산업에 적용하기 위한 기술 확대와 아이템 발굴에도 주력한다. 이를 통해 관련 산업이 잘 구축돼 있는 구미, 포항, 대구를 삼각 벨트로 묶어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방침이다. 구미는 구미전자정보기술원이 팹리스(반도체 설계 및 개발)를 중점으로 육성하고 포항은 나노융합기술원이 중심이 돼 파운드리(반도체 제조)와 테스트베드에 중점을 두고 기업 지원 체계를 마련한다. 대구는 경북대 반도체융합기술원을 중심으로 원천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인력양성에 나선다.
이미 대구경북에는 SK실트론과 KEC, LG이노텍, 예스파워테크닉스, L&D 등이 자리잡고 있어 향후 WBG 반도체 산업에 대한 투자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경북도는 WBG반도체 생태계 조성을 위해 'K-반도체 전략' 확장 모델도 정부에 건의했다. 이 전략은 수도권과 대기업, 메모리 반도체 중심의 K-반도체 전략과 지방과 중소기업, 비메모리 반도체 중심의 WBG반도체 생태계 조성을 결합한 모델이다. 경북도는 부산시 등과도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해 나갈 방침이다.
장상길 경북도
[안동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