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의 공약 가운데 하나가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 정부청사로 옮기겠다는 건데요.
경찰도 광화문 시대를 맞이할 준비에 들어갔습니다.
경호와 경비 체계를 완전히 바꿔야 하는데 어떤 변수가 있는지, 이권열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기자 】
경찰은 어제(11일) 진교훈 경찰청 차장 주재로 회의를 열어 '대통령실 이전 준비 치안대책위원회'를 만들기로 했습니다.
대통령 집무실을 광화문 정부서울청사로 옮기려면 경호와 경비 체계를 대대적으로 개편해야 합니다.
청와대에선 대통령 집무실과 관저 거리가 200미터에 불과하지만, 집무실과 관저가 분리되면 경호와 경비를 하기가 한층 더 까다로워집니다.
새 관저는 삼청동 총리공관이나 한남동 참모총장 공관 등이 거론되는데 대통령이 출퇴근할 때마다 주변 교통을 통제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정부서울청사 건물이 경호와 경비를 하기에 어렵다는 점도 경찰의 고민거리입니다.
대통령 관저 100미터 주변은 법으로 집회·시위가 금지돼 있지만, 정부청사 주변에선 시위를 막을 근거가 없습니다.
시위를 막으려면 법 개정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대통령 헬기 2대가 동시에 이·착륙이 가능한 공간도 필요한데, 광화문에 마땅한 곳이 없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집무실을 옮기기 어려웠던 이유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 인터뷰 : 유홍준 / '광화문시대' 자문위원(2019년 1월)
- "헬기장 등 집무실 이외 주요 기능 대체 부지를 광화문 인근에서 찾을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광화문 대통령 시대를 앞두고, 일대 경호와 경비 체계에 전면적인 변화가 있을 전망입니다.
MBN뉴스 이권열입니다. [ 2kwon@mbn.co.kr ]
영상편집 : 송지영
그래픽 : 송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