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는 덕구온천리조트로 분산…임시주택 조성 추진 중
![]() |
↑ 7일 경북 울진군 울진읍에 있는 울진국민체육센터에 마련된 산불 이재민 대피소의 모습. / 사진 = 연합뉴스 |
경북 울진군 산불 피해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을 위해 마련된 대피소의 환경에 대한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일부 이재민들을 덕구온천리조트로 이동시켰습니다.
지난 7일 산불이 울진읍 신림리 인근까지 확산했지만, 일부 주민들은 울진국민체육센터에 마련된 이재민 대피소로 향했다가 다시 마을로 돌아왔습니다.
이재민 대피소의 열악한 환경 때문이었습니다.
한 주민은 "대피소 바닥이 얇은 매트 정도여서 콘크리트에서 올라오는 냉기를 막기엔 역부족"이라며 "같은 마을에 사는 노인들이 거기 갔다가 춥다면서 마을로 다시 돌아왔다"고 했습니다.
현재 울진군 등은 이재민 대피소에 텐트 64개를 설치해 가족 단위로 쉴 수 있도록 하고, 추위를 막기 위해 온풍기를 가동 중입니다.
하지만 온풍기로 바닥의 냉기를 완전히 막을 수는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더구나 코로나19 대규모 확산 상황에서 많은 이재민이 한곳에 모여 있다는 점도 우려를 낳고 있습니다. 대피소에 머무는 이재민 중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는 사람이 많았지만, 일부는 마스크를 제대로 쓰지 않은 상태로 대화를 나누기도 했습니다.
이에 대해 이재민을 여러 시설로 분산하고 임시주거시설 확보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 |
↑ 5일 경북 울진군 울진읍 울진국민체육센터에 마련된 산불 이재민 대피소 앞에서 대한적십자사 관계자들이 아침 식사를 준비하는 모습. / 사진 = 연합뉴스 |
현재까지 경북도가 파악한 울진지역 산불 피해 이재민은 530가구 585명입니다.
경북도는 덕구온천리조트로 이재민을 분산하고, 친인척 집에 머무는 이재민에 대한 생계비를 지원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해 추진키로 했습니다.
또 1주일 안에 상하수도 시설을 갖춘 임시주택을 조성하고 항구적으로 살 수 있는 주택 마련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런 의견에 따라 정부는 8일 울진국민체육센터에 머무는 이재민 184명을 덕구온천리조트로 옮기기로 했습니다. 코로나19 감염 여부 확인을 위한 신속항원검사도 실시합니다.
또 연수원 등 공공∙민간∙숙박시설을 활용한 임시주거시설 지원도 추진할 예정입니다.
한때 덕구온천 일대까지 산불이 확산했지만 산림당국은 현재까지 안정적으로 방어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북도는 7일 오후 울진군청에서 열린 산불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이재민 주거비∙생계비 전액 국비 지원, 항구주택 조성에 LH공사∙경북개발공사 참여 시 세재감면, 산불진화 특별 전용 헬기 구입을 위한 250억 원 규모의 국비 지원, 특별진화대 구성 위한 소방인력 50명 신규 채용 등을 건의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