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 연합뉴스 |
청년들의 자산 관리를 돕겠다며 정부가 설계한 청년희망적금 상품에 불과 열흘 사이 300만 명이 가입하면서 은행들은 당혹스럽다는 분위기입니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부산·대구·광주·전북·제주은행 비대면(앱)·대면(창구) 창구를 통해 지난달 21∼25일, 28일∼3월 4일 2주에 걸쳐 10일간 청년희망적금 신청을 받은 결과 약 300만 명이 가입을 마쳤습니다.
이는 정부가 당초 예상한 가입 지원자(약 38만 명)의 약 8배 이르는 규모입니다.
정부가 저축장려금, 비과세 혜택 등을 지원하는 이 적금이 사실상 일반 과세형 적금 상품 기준으로 10% 안팎의 금리를 받는 것과 비슷하다고 알려지면서, 이미 '미리보기' 단계에서 5대 은행에서만 약 200만 명에 이르는 청년들이 가입 자격을 조회하는 등 과열 조짐이 나타났습니다.
특히 요일별 '출생연도 5부제' 방식으로 첫 가입 신청이 시작된 지난달 21일에는 쇄도하는 신청으로 일부 은행의 앱에서 수 시간의 접속 지연 사태까지 벌어지기도 했습니다.
결국 정부는 신청 마감일인 지난 4일까지 접수를 마친 신청자 가운데 가입 요건을 충족한 경우 모두 적금에 가입할 수 있도록 대상을 확대했습니다.
은행권은 수요 예측이 빗나간 것과 대상 확대 등 정부의 수습 과정도 매끄럽지 못하고 일방적이었다고 비판하고 있습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2월 21일 오전 가입 신청이 시작되기 직전까지만 해도, 예측 수요(38만 명)에 따라 당국이 각 은행에 당일 가입 할당량을 배분해주면 선착순으로 마감되는 방식으로 알고 있었다"며 "하지만 약 200만 명의 미리보기 인원 규모가 알려지고 21일 오전 시작하자마자 일부 은행 앱에 접속이 어려울 정도로 신청이 몰리자 '일단 오늘 신청 건은 다 받으라'는 지침이 내려왔다"고 밝혔습니다.
또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신청 이틀째(2월 22일) 당국이 '3월 4일까지 요건에 맞는 신청자는 모두 가입된다'며 대상 확대를 발표했지만, 은행권과 구체적으로 협의하거나 동의를 얻는 절차는 없었던 것으로 안다"며 "그만큼 정부도 신청 폭주에 당황해 서둘러 대상 확대를 결정한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청년희망적금의 금리는 기본금리 5.0%에 은행별로 최대 1.0%포인트의 우대금리를 더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최저 5.0%, 최고 6.0%의 금리가 적용되는데, 이는 현재 아무리 높아야 3% 안팎인 일반 예·적금 금리를 크게 웃도는 수준입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현재 은행권 대출금리가 평균 약 4% 정도인데, 적금에 6.0%의 금리를 주고 조달하면 당연히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며 "사회공헌 차원에서 청년희망적금 사업 참여를 결정한 것인데, 가입 인원이
그는 "은행들이 가입자 급증의 부담을 울며 겨자 먹기로 떠안고, 생색은 정부가 내는 셈"이라고 비판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은행권은 공익사업이라는 점, 가입 대상인 젊은 고객(19∼34세)을 신규 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해 계속 협조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