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새조개 모습 |
천수만 새조개는 2012년부터 8년 연속 생산량 '0'을 기록하다가 도에서 어린조개인 치패 등을 방류한 이후 2020년 25t에 이어 올해는 70t 이상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16일 충남도에 따르면 천수만 새조개는 쫄깃한 식감과 바다향 가득한 맛 때문에 서해안 대표 별미로 주목받았으나 서식 환경 변화 등으로 생산량이 급감하며 식탁에서 자취를 감췄다.
충남 도내 새조개 생산량은 2003년 1천156t으로 정점을 찍은 뒤 2010년 7t, 2011년 1t에 이어 2012년부터 8년 연속 공식 통계에서 '0'을 기록했다.
새조개는 생산량이 많지 않을 경우, 수협을 통해 판매되지 않기 때문에 통계가 잡히지 않는다.
그러던 것이 2020년 25t을 생산, 9년 만에 '0'에서 벗어났다.
지난해는 통계에 오르지 않았지만, 홍성군의 '새조개 어장관리실태조사'에서 도내 생산량이 17t 이상으로 추정했으며 올해도 75t가량 생산될 것으로 예상한다.
충남도는 새조개 생산량이 도의 방류 사업 이후 급증했다는 점에 주목한다.
2017년 2월 새조개 모패 1만4천590 패를, 2018년 6월에는 중간 크기인 중성패 97만 패를 천수만에 방류했다.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자체 개발한 새조개 대량 인공부화 기술을 활용, 2019년 1㎝·1g 안팎의 치패 30만 패를, 지난해도 50만 패를 생산해 각각 방류했다.
현재 새조개가 주로 생산되고 있는 곳도 방류 해역과 일치한다.
방류 해역에서 채취한 새조개와 도 수산자원연구소가 보유하고 있는 새조개 모패의 유전자 패턴이 동일하게 나타나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정확한 통계가 나오지 않아 속단하기는 어렵지만, 어업인들은 올해 새조개 생산량이 예년과 비교해 눈에 띄게 늘었다고 본다"라고 밝혔다. 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 측은 "방류 치패와 연구소 보유 모패 간 유전자 패턴이 일치하는 점으로 볼 때, 치패 방류가 생산량 증가에 영향을 미친 부분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라며 "어업인들도 새조개 방류 해역과 양을 늘려달라고 요청한 상태"라고 말했다.
전국 새조
이로 인해 새조개 1㎏당 소비자가는 2017년 5만원 선에서 2020년 7만5000원 안팎, 지난해와 올해는 6만∼7만원으로 높은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조한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