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트위터에 '한국인으로서'를 검색하면 나오는 글 /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갈무리 |
베이징올림픽 쇼트트랙 경기에서 나온 편파판정 논란과 관련해 소셜미디어(SNS)에 "한국인으로서 중국에 미안하다"는 취지의 사과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습니다. 이 글을 쓴 네티즌들은 글 시작에 앞서 자신이 한국인이라고 밝혔지만, 마치 번역기를 사용한 듯 어색한 문장 구사력을 보여주며 의심을 키우고 있습니다.
14일 트위터에 '한국인으로서'를 검색하면 한국인이라고 밝힌 네티즌들이 쓴 다수의 사과글과 중국 찬양 글이 나옵니다.
이들은 "중국팀이 너무 대단하다. 한국인으로서 나는 그들에게 갈채를 보내는 것을 참을 수 없다!", "한국인으로서 중국에 야유를 보내는 것이 부끄럽다. 싸우지 않았으면 한다", "중국 사람들에게 사과하고, 바보 같은 동포들을 용서한다" 등, 한국인이 썼다기엔 한 눈에 봐도 어색한 번역투로 쇼트트랙 관련 글을 올렸습니다.
이들은 대부분 한자로 된 닉네임으로 한국어를 사용하거나 기존 올린 글들을 확인한 결과 중국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는 등, 한국인이 작성한 게시글이라고는 많은 부분 의문점을 남겨놓았습니다. 또한 이들이 주장하는 내용은 중국 네티즌들이 주장하는 내용과 일치합니다. 한국 선수들이 경기에서 반칙을 썼고, 이 때문에 중국 선수들이 피해를 봤다는 주장입니다.
지난 7일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에서 중국의 런쯔웨이와 리원룽을 제치고 1위로 결승선을 통과한 황대헌이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실격되자 중국 네티즌들은 황대헌을 '반칙 선수'로 몰아갔습니다. 이틀 뒤(9일) 황대헌이 남자 1,500m 경기에서 금메달을 수상하자 중국 네티즌들은 황대헌 소셜미디어를 찾아가 "반칙으로 딴 메달" 등의 악성 댓글을 작성하고, 게시물들을 신고하여 황대헌 선수의 인스타그램 계정이 정지되는 등의 헤프닝도 잇따라 발생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개막식에서 불거진 중국의 한복 문화공정에 대한 언급도 잇따랐습니다. 이들은 한국의 남성들을 조롱하는 손모양을 사용하며 "한국인으로서 우리는 중국의 문화를 훔쳐서는 안 된다", "한국인은 중국의 개라고 인정합니다" 등의 어색한 번
이를 접한 국내 네티즌들은 중국 네티즌들이 번역기를 이용해 한국인인 척 글을 올린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네티즌들은 한국인들은 한국인으로서라는 말을 잘 쓰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며, 번역기를 돌린 듯 어색한 말투를 집어 "누구보다 한국인이 되고 싶어 안달 난 중국인으로 보인다"고 맞받아쳤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