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확산으로 재택치료자가 급증하면서 재택치료 기준도 바뀝니다.
재택치료자 가운데 60세 이상이거나 먹는 치료제를 복용하는 고위험군만 집중 관리하고, 나머지 재택치료자들은 스스로 자율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또 확진자와 동거하는 가족은 7일간 공동 격리를 하되, 의약품이나 생필품을 살 때는 당국에 통보 없이 외출도 허용됩니다.
먼저 달라지는 내용을 이상은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전파력은 3배나 강하지만, 치명률은 델타의 1/3 수준에 불과한 오미크론 변이 특성에 맞춰 재택치료 체계도 오는 10일부터 대폭 바뀝니다.
먼저, 재택치료자 중 집중관리군은 60살 이상이거나 먹는 치료제 처방 대상인 50살 이상 고위험 기저질환자, 면역저하자로
이들은 지금처럼 관리 의료기관에서 하루 2회 전화로 상태를 점검받습니다.
그 외엔 일반관리군으로 분류돼 모니터링을 받지 않습니다.
해열제, 산소포화도 측정기 등 5종 재택치료 키트도 집중관리군에게만 지급됩니다.
일반군은 스스로 상태를 체크하다 필요 시 동네 병·의원이나 호흡기클리닉 등 지정 의료기관에서 비대면 진료, 코로나 환자 외래진료센터에서 대면진료를 받습니다.
▶ 인터뷰 : 권덕철 / 보건복지부 장관
- "현재 532개 관리의료기관을 650개까지 늘리고, 집중관리군 환자를 20만 명까지 감당 가능한 체계로 갖출 것입니다. 외래진료센터는 현재 55개소에서 112개까지 2배 이상 확대하겠습니다."
이렇게 되면, 하루 10만 명 정도의 확진자가 20일 이상 발생해도 관리 가능하다는게 정부의 판단입니다.
격리 방식도 개편합니다.
위치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자가격리앱은 폐지하고, 확진자 동거 가족의 외출도 의약품과 생필품 구매 등 필수 목적일 때는 허용됩니다.
▶ 인터뷰 : 정은경 / 질병관리청장
- "예방접종 완료자는 별도 격리 없이 수동감시 대상이 됩니다. 또한, 밀접접촉자의 격리 기간은 확진자의 격리해제 기준에 맞추어 7일로 일괄 조정하여 시행하도록 하겠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이제부터 오미크론 대응이 시험대에 올랐다며, 일상회복의 마지막 고비라고 말했지만, 여야 정치권과 의료계 안팎에서는 방역과 재택치료의 사각지대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MBN 뉴스 이상은입니다.
영상편집: 이범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