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적 풍속과 유교적 제례 방식이 결합해 만들어진 제주만의 풍습
↑ 제주. / 사진 = 연합뉴스 |
'바람'과 '돌', '여자'가 많다고 하여 '삼다도'라 불리기도 했던 제주에 많은 것이 하나 더 있습니다. 바로 '신'입니다.
제주는 흔히 '신들의 나라', '신들의 고향'이라고 일컬어집니다. 제주에는 1만8천에 이르는 많은 신이 있어 인간의 길흉화복을 관장한다고 전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별칭에 맞게 제주는 설 명절에도 조상이 아닌 신을 위한 상을 따로 올려 제를 지내는, 문전제(門前祭)를 지냅니다.
문전신은 가택신 중 최상위 신으로 문 앞을 지키며 집 안으로 들어오는 사악한 기운을 막아주는 신입니다. 또 조상이 드나드는 길목을 관장한다고 하여, 옛 제주인은 조상을 모셔 제사를 올리기에 앞서 문전신을 모셨습니다.
문전제는 유교식 제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모습으로, 무속적 풍속과 유교적 제례 방식이 결합해 만들어진 제주만의 풍습입니다.
명절과 제사 때 본제를 지내기에 앞서 이뤄지는 문전제는 집마다 조금씩 다르지만 보통 이러한 순서로 진행됩니다.
↑ 제주지역 문전제 모습. / 사진 = 연합뉴스 |
먼저 본상에 올리는 제물을 종류별로 한 그릇씩 약식으로 올려놓은 문정상을 본상 옆에 차립니다.
본제 한 시간 전 문정상과 향로를 거실로 들고 나가 대문 쪽으로 향하도록 현관 앞에 놓습니다.
제주가 향을 피우고 잔에 술을 붓고, 잔을 향 위로 오른쪽으로 3번 돌리고 문전상 위에 올립니다.
본제와 다르게 문전제는 제주 혼자 또는 제주와 집사 각 한 명만 두고 지내고 술도 한 번만 올립니다.
이어 숟가락을 국에 적셔 밥에 꽂고, 젓가락은 나물 위에 올려둡니다.
술잔에 밥과 국, 모든 음식을 조금씩 떼서 넣고 숟가락과 젓가락을 원위치에 내려놓습니다.
제주는 이 과정에서 2번씩 3차례 절을 합니다.
문전제가 끝나면 문전상에 올린 제물을 조금씩 떼어 내 지붕이나 올레에 던지는 '고수레'를 합니다. 이는 조상을 따라온 벗이나 잡귀를 대접하기 위한 의식입니다. 문전신이 문 앞을 지키고 있어 조상만 집으로 들어와 차려진 제사상을 먹을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생겼습니다.
이때 제사상에 올린 제물 중 빠뜨린 것 없이 고수레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고수레는 부엌을 관장하는 문전신의 어머니는 조왕신에게도 진행합니다. 이때는 부엌으로 옮겨진 문정상의 제물을 여자가 떼어내 솥단지 위로 던집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