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벌 실종되며 농작물 수정이 어려워져 2차 피해 발생도 우려
↑ 경남 거창군 한 양봉농가에서 농민이 꿀벌이 거의 사라진 벌통을 들어보이고 있다. / 사진 = 연합뉴스 |
겨울철이면 벌통에 모여있어야 할 꿀벌 무리가 최근 흔적 없이 사라졌다는 신고가 경남 곳곳에서 접수되고 있습니다. 이에 농림축산 관련 기관이 피해 현황과 원인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1일 경남도와 각 시·군, 한국양봉협회 설명에 따르면 새해 들어 창녕 양봉농가 150여 곳 중 40여 곳에서 꿀벌이 집단 실종됐다고 지자체 등에 신고했습니다.
일반적으로 꿀벌은 겨울철이 되면 벌통에서 월동합니다. 경남 양봉농가들은 기후 등을 고려해 꿀벌이 월동할 수 있도록 10월 중순쯤 준비를 마치고, 이듬해 1월 초순 벌을 깨워 화분떡과 같은 사료를 주며 다시 키우기 시작합니다.
통상 벌통 1개(군)에는 꿀벌 1만5천~2만여 마리가 있는데, 창녕 농가들의 신고에 따르면 월동을 깨우려 확인한 벌통에는 상당수의 꿀벌이 없어져있었습니다. 44개 농가는 벌집 1만2천400여 군 가운데 75% 상당인 9천300여 군에서 피해가 발생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꿀벌의 집단 실종 신고는 비슷한 시기 거창 위천, 함양 서상, 합천 등 도내 다른 양봉농가로부터도 접수됐습니다.
↑ 꿀벌 실종 피해 현장 조사. / 사진 = 연합뉴스 |
도는 이처럼 일부 지역에서 유례없는 꿀벌의 대규모 실종이 계속되자 최근 18개 시·군 전역에 공문을 보내 피해 현황 파악에 착수했습니다.
농촌진흥청과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양봉협회 측으로부터 원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요청을 받고서 지난달 26일과 27일 꿀벌 실종 피해가 발생한 창녕 농가 중 3곳과 거창·함양·합천 농가를 방문했습니다.
두 기관은 꿀벌이 대부분 사라진 벌통에 남아 있는 꿀벌이나 일부 사체 등을 수집해 질병 여부를 확인할 예정입니다.
피해 농가 일부에선 전례 없는 '꿀벌 실종 사건'에 벌집 군집붕괴현상(CCD·Colony Collapse Disorder)을 의심하고 있습니다.
CCD는 꿀벌들이 갑자기 사라지는 현상을 뜻하며, 2006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보고됐습니다. CCD의 원인은 바이러스, 농약, 기상 악화, 살충제 등 여러 설이 거론되고 있지만 정확한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농촌진흥청 측은 꿀벌 집단 실종 원인에 대해 예단할 수 없다면서도 CCD 가능성은 작다고 내다봤습니다.
대신 꿀벌응애(기생충), 약제의 잘못된 사용 등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 꿀벌 대규모 실종. / 사진 = 연합뉴스 |
큰 일교차 등 기후 변화도 원인 중 하나로 꼽고 있습니다. 겨울철이라도 기온이 오르는 이른 오후에는 꿀벌들이 벌통 바깥으로 '외출'을 할 수 있는 데, 오후 3~4시쯤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면서 갑자기 행동할 수 없게 된 꿀벌들이 땅바닥에 붙어있다가 새벽녘의 영하 기온에 폐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정현조 한국양봉협회 경남도지회장은 "경남에는 꿀벌이 수정해야 할 시설채소나 과일이 전국의 30% 정도
함양군의 한 관계자는 "도에서 공문이 내려온 만큼 곧 피해 규모 파악에 착수할 예정"이라며 "농촌진흥청 등이 채취해간 시료 분석 작업을 마치면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