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기준 전국 산불 45건·20.37ha 피해 발생
기후변화로 겨울철 온도 상승·건조한 날씨 지속
올해 산불 지난 10년 평균치에 비해 3배 증가
Q. 최근 야간 산불 증가?
야간 산불 발생 시 진화 인력·장비 투입 어려워
야간산불 전체 산불의 42.4% 피해 면적 76.2%
10일 기준 야간 산불로 산림 피해 11.86ha 발생
Q. 1월 산불 위험 높아져?
국립산림과학원 산불 기상지수 변화 분석
2000년 이후 1월 산불발생위험 30~50% 높아져
지난해 1월 연간 산불 중13%인 44건 발생
Q. 건조한 날씨가 산불에 미치는 영향?
실효습도 50% 이하일 때 화재 위험 높아져
낙엽 수분 함유량 15%일 때 발화 확률 25배 높아
실효습도 25% 이하 지속 예상될 때 건조경보
Q. 올 겨울 강수량 부족?
최근 3개월 누적강수량 평년보다 38% 부족
‘보통가뭄’등급 받은 시군 24곳으로 증가
강원영동·경북동해안·충북 중심으로 가뭄 발생
Q. 산림청 대형산불주의보 발령?
산림청 경상·강원 등에 대형산불주의보 발령
초속 9~15m 강풍으로 산불 위험 높아져
산불위험지수 단계 낮음→다소높음 상향
Q. 강풍이 화재 확산에 미치는 영향?
초속 6m 풍속·경사 30°산불 79배까지 빨라져
2019년 고성 산불 최대 순간풍속 초속 35.6m
당시 시간당 5.1km의 속도로 산불 확산
Q. 산불 발생 원인은?
산불 원인 48% ‘입산자 실화·소각’
구미에서 화목보일러 불씨 옮겨 붙어 산불 발생
최근 산불 대부분 입산자 실화가 원인
Q. 강원도 산불방지대책본부 가동?
전국에 산불재난 국가위기경보 관심 발령
강원도 산불방지대책본부 1월로 앞당겨 가동
강원 1월 산불건수·피해면적 지난해 대비 증가
Q. 산림청 산불 방지 대책은?
초대형 헬기 도입·낡은 산불진화 차량 교체
드론감시단 가동 무단입산·불법소각 감시
산림·산림 인접지 소각 허가 제도 폐지
Q. 산불 예방 수칙은?
산행 전 입산 통제·등산로 폐쇄 여부 확인해야
등산객은 라이터·담배 등 인화물질 소지 말아야
산림과 가까운 곳에서 논·밭 소각 말아야
Q. 산불 발견 시 행동 요령은?
바람 방향 감안해 산불 진행 경로에서 벗어나야
저지대·연료 없는 지역·바위 뒤 등으로 대피
산악위치 표지판 고유번호 알려주면 도움 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