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앞줄 오른쪽 둘째)이 20일 오전 경북 봉화군을 방문해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방역 관리실태를 점검했다. 봉화군은 전국에서 가장 큰 산란계 밀집 단지가 위치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한 지역이다. <사진제공=농림축산식품부> |
20일 환경부는 14일부터 사흘 간 주요 철새도래지 112곳을 조사한 결과, 172종의 철새 137만마리가 국내를 찾았다고 밝혔다. 지난해 1월보다 28만마리(25.3%)가 증가했다.
특히 조류인플루엔자를 전파할 가능성이 높은 오리, 기러기, 고니 등 오리과 조류 숫자가 대폭 늘었다. 오리과 철새 수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5만마리(32.6%) 폭증했다. 통상 오리과 조류는 닭이나 다른 조류와 달리 바이러스에 대한 내성이 강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에 감염되고 나서도 상당기간 생존하며 이동해 바이러스를 전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류 인플루엔자를 퍼트릴 수 있는 철새 도래가 급증함에 따라 올 겨울 잠잠하던 조류 인플루엔자 방역 상황에도 더 주의가 필요하다는 우려가 나온다. 지난해 10월 이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는 농장에서 단 21건, 야생에서도 단 18건 발생하는데 그쳤다. 살처분 마릿수는 184만여마리로, 전년동기 3000만마리에 가까운 살처분을 벌인 것 대비 조류인플루엔자 통제는 양호한 상황이다.
20일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오전 경북 봉화군을 방문해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 방역 관리실태를 점검했다. 봉화군은 전국에서
농식품부는 봉화군에 농장 4단계 소독, 소독·방역 시설이 없는 농장의 부출입구·축사 쪽문 폐쇄 등 방역수칙 준수를 당부했다.
[송민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