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환경이 확산하면서 지자체들이 각종 공공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앞다퉈 만들고 있는데요.
많게는 수억 원의 예산을 들여 개발했는데, 내려받은 사용자가 단 한 명도 없는 앱도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의미 없이 쓰인 돈은 주민들이 낸 세금입니다.
안진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 기자 】
가상현실과 증강현실로 관광지를 감상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입니다.
영어와 중국어, 일본어 서비스도 제공합니다.
창원시가 만든 이 앱의 제작비는 5억 6천만 원.
그런데 지난해 이 앱을 내려받은 횟수는 1,998 차례에 불과합니다.
결국 창원시는 서비스 중단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창원시 관계자
- "앱으로 서비스하는 건 중지를 하고…. 앱 기능을 개선하면 돈이 계속 들기 때문에 앱이 아닌 웹에서…."
광주시가 개발한 농가 하우스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앱도 마찬가지입니다.
제작에 2억 6천만 원이나 들었지만, 내려받은 횟수는 고작 84건입니다.
시민들이 거의 이용하지 않는 앱들도 수두룩합니다.
춘천시가 개발한 '춘천 호수길', 울산 남구의 '자전거 안심동록' 등은 지난해 기준, 내려받기 횟수가 '0'입니다.
▶ 인터뷰(☎) : 울산 남구 관계자
- "지금 (앱) 검색이 안 되는 상태입니다. 워낙 사용량도 없고, 폐지를 할 예정입니다."
전국 17개 시·도와 교육청이 만든 공공 앱은 모두 346개, 이 가운데 37%인 128개가 성과 미달로 폐기 대상입니다.
주민 서비스를 명목으로 정확한 수요 예측도 없이 경쟁하듯 만든 공공기관 애플리케이션들이 혈세만 낭비하고 사라지는 처지가 됐습니다.
MBN뉴스 안진우입니다. [tgar1@mbn.co.kr]
[영상취재 : 김영환 VJ, 영상편집 : 최형찬 ]
#MBN #애플리케이션 #지자체 #창원 #안진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