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제공 = 건축공간연구원] |
13일 오후 온라인 생방송으로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노인의 주거환경 및 자립생활 혁신 방향'이란 주제로 열린 '욜드 이노베이션 포럼 2021'에서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최고 수준의 우리나라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노인 의료비 지출 증대 등 국가 복지부담 완화를 위한 건축·도시 측면에서 대책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와 주목을 받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2017년 8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21%를 차지하며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2025년에는 고령인구가 1000만명을 넘어서고 전체 인구의 20%를 초과하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다. 2067년 시점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45.4%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날 '고령자 자립생활·돌봄과 주거산업 육성 방안 발제'로 '어르신을 위한 주거환경, 결국 우리를 위한 생활환경'이란 주제로 발표에 나선 고영호 건축공간연구원 연구위원은 "고령자의 신체·사회적 활동을 강화하는 커뮤니티 생활환경 조성 등 각종 노인성 질환에 대한 사전예방 중심 대응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 고령자의 의료비 지출 저감과 국가 재정 부담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고 연구위원은 외부환경·시설, 교통, 주거 등 건축·도시공간 분야를 포함하는 8대 영역을 제시하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고령친화도시 조성 가이드(Global Age-Friendly Cities: A Guide)'를 언급하며 "국내에서는 2013년 서울시 가입을 시작으로 지난해 12월 기준 23개의 국내 지방자치단체가 가입했다"며 "변화하는 고령자의 특성과 건축도시공간에 대한 국내 고령자의 인식, 이용실태 등을 반영한 고령친화 생활환경 조성 정책 수립의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촉구했다.
↑ [자료 제공 = 건축공간연구원] |
이어 "건강 악화 시에도 재가 서비스를 받으며 현재 사는 집에서 계속 거주하고 싶다는 응답(48.3%)이 절반에 가까웠다"고 소개했다. 조사에서 건강 악화에도 재가 서비스를 받으며 현재 집에서 살고 싶은 이유로는 '익숙한 공간에서의 여생'(83.6%, 1+2 순위 기준), '친한 친구나 이웃과의 관계 유지'(60.9%) 등을 꼽았다.
고 연구위원은 이같은 결과를 토대로 "지속적인 재가 생활을 희망하는 신중년 고령자를 위한 익숙한 공간과 관계성 유지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다"며 ▲고령자 생활권 중심의 생활편의·복지시설 접근성 강화 필요성 검토 ▲고령자 거주 지역의 주요 주택유형 차이에 따른 고령자 일상 도보생활권의 실증 ▲
'욜드 이노베이션 포럼 2021'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매경미디어그룹이 주최하고 보건복지부가 후원한다. 포럼은 매일경제TV 또는 유튜브 검색창에 '욜드'를 입력하면 검색해 시청할 수 있다.
[전종헌 매경닷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