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창업기업과 예비 창업자들은 지방에서 창업을 하면 투자 유치가 어렵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 창업팀이 국내 대학 창업 프로그램 참여자 171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이 아닌 지방 창업의 불안 요소를 묻는 질문에 절반이 넘는 88명(51.5%)은 '자본·투자 유치'라고 답했다.
지난 달 말 울산과기원 창업팀이 지방 기술창업 활성화를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해 온라인으로 진행한 설문 조사에는 498명이 접속해 34.3%의 응답율을 보였다. 설문 응답자의 44.4%(76명)는 창업 준비 단계, 38.6%(66명)는 3년 이내 초기 창업기업이었다.
설문 응답자 절반은 지방에서 창업을 하면 자본과 투자 유치가 어려울 것이라고 생각했고, 마케팅과 판로의 어려움(53명, 31%), 법률·세무 관련 정보 부족(12명, 7%), 창업 공간 확보의 어려움(11명, 6.4%) 등도 불안 요소로 손꼽았다.
창업을 할 때 지역 선정 기준의 1순위는 필요한 인력 확보 여부였다. 응답자 중 75명(43.9%)은 인력 확보가 쉽고, 기술 개발 지원이 가능한 곳에서 창업을 하겠다고 밝혔다. 49명(28.7%)은 창업 후 판로 확보가 가능한 지역이라고 답했다.
창업을 고려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80명(46.8%)이 경제적 성공이라고 답했고, 적성 및 흥미(44명, 25.7%), 경력 및 자기계발(36명, 21.1%)이 뒤를 이었다. 정년 없는 일자리를 선택한 응답자는 11명(6.4%)이었다. 선호하는 창업 분야는 애플리케이션, 정보통신(IT), 소프트웨어 분야 기술창업이 92명(53.8%)으로 가장 많았고, 물리, 화학, 소재 분야 기술창업 45명(26.3%), 기타 아이디어 창업 34명(19.9%) 순이었다.
설문 응답자 10명 중 6명(103명, 60.2%)은 대학이나 공공기관 창업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했고, 92.4%(158명)은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하지만 경직된 사업비 집행, 정량적인 성과 중심, 사업비 부족 등은 개선돼야 할 부분으로 나타났다.
지방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부와 지자체의 역할에 대해서는 수도권 중심에서 벗어난 창업 생태계가 조성돼야 한다는 응답이 49.7%(85명)로 가장 많았다. 창업 지원 프로그램 확대(50명, 29.2%), 창업 제도·법률 정비(24명, 14%), 창업 연계 및 보육 기관 확충(12명, 7%) 순이었다.
권순용 울산과기원 산학협력단장은 "기업과 사람이 몰려 있는 수도권이 아무래도 창업에 유리하다고 보는 것 같다"며 "정부 차원에서 지방 기술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정책
권 단장은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미래 산업은 권역별로 위치한 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며 "과학기술원들이 연구개발특구 제도와 연계해 지방 기술창업 문화를 활성화하는 정책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울산 = 서대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