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집콕'문화와 최저임금 상승이 주 요인
작년 하반기 기준 국내 배달원 수가 40만 명에 육박했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가 발생한 이후 '집콕' 문화가 확산하면서 택배·배달음식 등의 수요가 함께 늘어 배달원 수도 10% 넘게 늘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오늘(1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양경숙 의원은 통계청에서 받은 자료를 인용해 작년 하반기 배달원 취업자 수가 39만 명이라고 밝혔습니다.이는 2013년 시작된 조사 이후 역대 최대치입니다.
작년 하반기 배달원 수는 1년 전인 2019년 하반기의 34만9천 명보다 11.8% 증가했습니다.
제7차 한구표준직업분류상 배달원은 대분류 '단순노무종사자', 중분류 '운송 관련 단순 노무직' 아래 소분류 항목으로 분류된 상태입니다.
우편집배원, 택배원, 음식 배달원, 기타 배달원(음료·신문 등)이 모두 배달원 분류에 포함됩니다.
2013년 상반기 배달원 수는 29만6천 명이었는데 그 해 하반기 32만2천 명으로 크게 늘어난 뒤 2014년 상반기부터 2019년까지 31만~35만 명대를 유지했습니다.
이후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하면서 2020년 상반기에 37만1천 명으로 늘었고, 그 해 하반기에 39만 명까지 불어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코로나19 관련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에 따른 '집콕' 문화 확산과 관련됐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실제로 작년 온라인으로 배달 음식을 주문하는 음식 서비스 거래액은 1년 전보다 78.6% 증가한 17조4천억 원을 기록했고, 18개 택배 사업자의 택배 물량도 21% 늘어난 33억7천818만9천개로 급증했습니다.
또 최저임금까지 상승하면서 사업자들이 자체 배달 서비스를 시행하기보다는 배달 대행 업체를 더 많이 이용하게 되면서 배달원 수도 함께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폭증하는 배달원 수에 비해 산재 위험과 과로
이에 양경숙 의원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산업·직업 구조 변화가 나타나면서 비대면 산업 관련 직업이 빠르게 늘고 있다"며 "정부는 이러한 직업 환경의 변화가 경제적 약자의 부담 증가로 이어지지 않도록 상황을 면밀히 살피고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