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 미리 내려 받아도 앱 간 격차 벌어져
똑같은 거리를 주행하더라도 모바일 내비게이션 앱에 따라 무선 데이터 소모량에 큰 차이를 보인다는 사실이 조사됐습니다.
오늘(1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은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내비게이션 앱 무선데이터 소모량 측정 결과'를 받은 결과에 따르면 이처럼 나타났다는 것을 밝혔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티맵 서비스의 데이터 무료 혜택 종료를 계기로 삼아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를 통해 4월 말부터 6월 말까지 티맵, 카카오내비, 네이버지도 등 3종의 내비게이션 데이터 소모량을 3차에 걸쳐 측정했습니다.
측정 결과, 지도를 내려받지 않고 실시간으로 수도권(서울 서초대로~수원시 권선구, 약 24Km)에서 운행했을 때 평균 48.3분이 소요됐고, 네이버 지도가 15.9MB로 데이터 사용량이 가장 많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그 뒤를 이어 카카오 내비가 9.1MB, 티맵이 6.2MB 순이었습니다.
다만 지도를 미리 내려받으면 앱별로 데이터 소모량이 모두 줄었으나, 오히려 앱 간 격차는 더욱 벌어졌습니다.
평균 운행 기간 43분 동안 네이버 지도는 11.5MB를 소모했고, 카카오내비는 5.5MB를, 티맵은 3.7MB를 사용했으며, 티맵 대비 네이버지도의 데이터 사용량은 4.1배 수준이었습니다.
또한 지도를 저장하지 않고 수도권에서 실시간으로 운행하면 평균 10.4MB가 소모됐으나, 지도를 저장한 후에 사용하면 평균 8.1MB의 데이터가 소모되어 데이터 사용량이 28.4% 절약되는 것으로 측정됐습니다.
지방(천안 아산역~아산시 인주면, 약 24Km)에서 측정한 결과 또한 마찬가지로 데이터 사용 패턴이 비슷하게 나타났습니다.
실시간 운행할 때 데이터 소모량은 네이버가 10.4MB, 카카오가 8.0MB, 티맵이 5.1MB 순이었으며, 지도 저장을 할 때의 소모량은 네
양정숙 의원은 "최근 무료 서비스로 몸집을 키운 뒤 유료로 전환하는 플랫폼들이 많아지면서 소비자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국민의 알 권리와 가계 통신비 절약 차원에서 국민이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의 무선 데이터 사용량 조사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