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간 통합이 잇따르는 가운데 마산과 창원시가 통합에 합의했습니다.
하지만, 지방자치단체 간 통합에 따른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마산과 창원의 행정구역 통합에 따른 산적한 과제들을 안진우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 기자 】
경남 창원시와 마산시가 행정구역 자율 통합 계획에 전격 합의하고, 통합 신청서를 제출하기로 했습니다.
진해시도 창원시와의 통합을 1순위로 하고, 2순위로 마산과 창원, 진해 3개 시 통합을 추진키로 했습니다.
이들 3개 시가 통합되면 인구 108만 명, 예산은 2조 1,420억 원에 달해 인구 기준으로 울산광역시와 맞먹게 됩니다.
▶ 인터뷰 : 박완수 / 창원시장
- "통합에 대해서는 모든 것을 이제 창원시민들의 뜻을 따라야겠습니다. 시장이 통합하는 게 아니잖아요."
통합에는 합의했지만, 3개 시도가 풀어야 할 과제도 산적합니다.
진해시는 여전히 창원시와의 단독 통합을 추진하고 있어, 3개 시 통합을 둘러싼 갈등의 불씨는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또 3개 시와의 통합추진을 강력히 요구하고 있는 함안군도 갈등의 불씨가 될 수 있습니다.
함안군의 통합 요구에도, 국회의원 선거구 조정이라는 현실적인 난관은 넘지 못했습니다.
▶ 인터뷰 : 조영규 / 함안군수
- "시너지 효과를 얻으려고 통합 용역결과에 따라서 하는 게 맞겠다고 생각하고, 마·창·진 함안의 통합을 원합니다."
또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갑자기 진행되는 통합에 대해 시민사회는 정략적 우려를 감추지 않았고 있습니다.
내년 지방선거에서 통합시장을 겨냥한 노림수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차윤재 / 경남 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상임대표
- "내년 지방 선거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는 현 단체장들이 주도하는 통합 논의는 정략적으로 흐를 수밖에 없습니다. 현직 단체장들은 통합시 출마 여부에 대한 분명한 견해를 밝혀야 할 것이며…"
마산과 창원이 행정구역 통합에는 합의했지만, 시민 정서가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여 왔다는 점도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MBN뉴스 안진우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