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팡의 한 물류센터 전경 [사진=연합뉴스] |
22일 참여연대는 논평을 내 쿠팡물류센터의 노동환경이 열악하다고 지적했다. 참여연대는 "쿠팡의 급격한 성장에는 로켓배송 등의 노동자 수탈 구조가 자리 잡고 있다"며 "빠른 배송을 위해 사람이 아닌 물류 중심으로 물류센터를 구축하고 휴대폰 소지 금지, 화장실 사용 통제 등 전근대적 노동환경을 강요했다"고 밝혔다.
쿠팡물류센터 노동조합에 따르면 쿠팡물류센터는 노동자에 각종 규제를 두고 있다. 민병조 공공운수노조 쿠팡물류센터지회 지회장은 "출근할 때 보안상의 이유로 검색대를 통과하게 하면서 개인 상비약이나 작은 간식까지 반입을 막는다"며 "휴대폰 사용을 금지시키는데 센터에 비상전화가 마련돼있지 않아 위급한 연락도 받지 못한다"고 말했다. 이어 "센터마다 상황이 다르긴 해도 쿠팡물류센터는 기본적으로 노동자 인격 침해가 만연해 그 사례를 전부 나열하기 힘들 정도"라고 했다.
무기계약직 전환을 앞두고 '직장 내 괴롭힘'을 겪었다는 노동자도 있었다. 인천4물류센터에 근무하는 계약직 사원 백 모씨는 두 달 후 계약직 근무 2년을 채우게 돼 무기계약직 전환 대상자 명단에 올라있다. 하지만 이달 초 백씨는 갑자기 전환 계약이 미뤄졌다는 통보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백씨는 한 번도 배치되지 않았던 곳으로 근무 배치를 받았는데 지난 2월 백씨에게 조롱을 일삼은 관리자 바로 앞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백씨는 "무기계약직 전환 전에 제 발로 나가도록 유도한 것이라고 확신한다"며 "이런 식으로 버티다 못해 관둔 동료들을 여럿 봤다"고 말했다.
고용노동부의 '기간제 근로자 고용안정 가이드라인'에 따라 계약직 근무자가 2년 이상 근무하면 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다. 백씨는 지속적인 괴롭힘에 지난 5월 고용노동부에 진정서를 제출했고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이다.
덕평 쿠팡물류센터 화재 이후 다른 쿠팡물류센터들도 각종 위험에 노출돼있다는 주장이 이어지고 있다. 동탄 쿠팡물류센터에서 근무하는 A씨는 "1년 넘게 화재 경보기가 아무때나 울려서 이제는 경보기가 울려도 아무도 신경 쓰지 않는다"며 "화재에 안일해지지 않게 화재 경보기를 수리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쿠팡물류센터가 노동자 건강과 안전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수도권의 한 쿠팡물류센터의 계약직 사원 B씨는 "에어컨 없이 선풍기만 있어 여름철엔 살인적 더위에 시달린다"며 "청소를 거의 하지 않아 곳곳에 먼지가 뭉쳐 굴러다니기도 한다"고 말했다. 또 다른 계약직 사원 C씨는 "정식으로 안전 교육을 받은 적도 없고 안전을 책임지는 관리자 인력도 부족하다"며 "언제 사고가 나도 이상하지 않다"고 했다. 참여연대에 따르면 쿠팡물류센터 산재 승인 건수는 2017년 48건에서 지난해 224건으로 5배 가량 증가했다.
참여연대는 이날 낸 논평에서 쿠팡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했다. 참여연대 관계자는 "덕평 물류센터 화재 발생 5시간 만에 갑자기 창업자인 김범석 의장이 국내 직책을 사임한 것은 책임 회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노동자를 착취해온 쿠팡에게 합당한 법적 책임은 물론 사회적 책임을 질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쿠팡 측은 노동자의 안전한 근무 환경을 위해 휴대폰 반입 금지 등의 규정을 두고 있다는 입장이다. 쿠팡 관계자는 "지게차가 오고가는 위험한 환경 때문에 휴대폰 반입을 막는 대신 각 물
[명지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