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육아휴직자가 16만 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5명 중 4명은 '엄마'지만, 남성 육아휴직자도 꾸준히 늘며 5명 중 1명이 '아빠'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19년 육아휴직통계 결과'를 오늘(22일) 공개했습니다.
작년 육아휴직자 수(시작일 기준)는 15만9천153명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1년 전보다 4.5% 증가한 수치로 2010년 7만2천769명의 2.2배 수준에 달합니다.
작년 기준으로 보면 육아휴직자 중 엄마의 비율은 80.1%, 아빠 비율은 19.9%입니다.
비중으로 보면 아빠의 육아휴직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2010년에 2.7%이던 비중이 해를 거듭할수록 늘어나면서 작년에는 육아휴직자 5명 중 1명으로 늘어난 것입니다.
연령별로 보면 엄마의 비중은 30~34세(51.8%)가, 아빠는 35~39세(40.7%)가 가장 큽니다.
작년 출생아를 대상으로 육아휴직을 한 부모의 63.3%가 종사자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에 소속돼 있습니다. 육아휴직 제도의 혜택을 중견·대기업 재직자들이 상대적으로 잘 누리고 있는 것으로 풀이됩니다.
아이가 태어난 해에 육아휴직을 쓸 수 있는 사람 중 실제로 쓴 사람의 비중은 21.6%였습니다.
엄마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63.6%, 아빠는 1.8%입니다. 역시 전반적으로 사용률이 오르는 추세입니다.
2010년에 출생한 아이 100명당 육아휴직자 수는 19.6명입니다. 아이가 8세에 이르는 동안 5명 중 1명꼴로 육아휴직을 썼다는 의미입니다. 이중 엄마는 17.8명, 아빠는 1.8명입니다.
이 기간에 육아
해당 기간 육아휴직을 한 부모 중 아이가 만 0세 때 육아휴직을 한 부모는 59.6%로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은 초등학교 취학 전후인 만 6세(8.4%)와 만 7세(5.8%) 등 순이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