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의 옥중 입장문 공개로 시작된 '검사 술 접대 의혹' 수사는 일부 관련자 기소로 마무리됐습니다.
하지만 입장문에 담긴 다른 의혹은 여전히 남아 있어 검찰이 의미 있는 수사 결과를 내놓을지에 관심이 쏠립니다.
오늘(13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남부지검은 검사 술접대 의혹과 관련해 김 전 회장과 검찰 전관 A 변호사, 현직 검사 등 3명을 기소하면서 "김 전 회장이 제기한 전직 검찰 수사관의 비위 의혹과 전관 변호사를 통한 사건무마 의혹 등을 계속 수사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검찰은 아울러 김 전 회장의 '야권 정치인 로비' 대상으로 지목된 윤갑근 전 대구고검장을 알선수재 혐의로 구속했습니다. 그는 김 전 회장이 지난 10월 발표한 옥중 입장문에서 라임자산운용 펀드 청탁 건으로 수억원을 지급한 검사장 출신 야당 유력 정치인으로 거론됐습니다.
김 전 회장은 검찰 수사관 출신 A씨에게도 3억여 원의 로비를 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입장문에서 "2019년 7월께 라임 사건과 관련해 A씨를 만나 청담동 룸살롱에서 2차례 접대를 했다"며 "이후로도 추석 '떡값'과 라임·수원여객 사건 무마용으로 총 3억3천만 원가량의 돈을 줬다"고 했습니다.
또 "A씨는 올해 3월 '대검이 조만간 라임 사건으로 언론을 움직일 것'이라는 정보를 알려줬고, (이후) 청와대 행정관 상대 로비 의혹이 언론에 보도됐다"며 "검찰 조사에서도 회사 자금거래 내역 중 A씨에게 돈을 지급한 내용만 조서에서 빠졌다"고 주장했습니다.
김 전 회장은 A씨가 가져간 돈 중 일부는 경찰이 수사하던 사건의 영장 청구를 지연시키기 위한 로비자금이었으며 로비 대상은 윤대진 검사장(당시 수원지검장)이었다고 입장문에 적었다. 윤 검사장은 영장 청구가 지연된 사실 자체가 없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습니다.
이에 검찰은 지난 10월 A씨의 서울 강남구 사무실 등을 압수수색해 업무용 PC 하드디스크와 휴대전화 등을 확보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A씨가 김 전 회장의 주장대로 검찰 측에 부정한 청탁을 하거나 로비 자금을 전달한 사실이 있는지를 살피고 있습니다.
또 다른 검찰 전관 변호사가 '몰래 변론'으로 라임 사건 수사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혹도 여전히 풀리지 않은 상태입니다. 김 전 회장은 검찰 출신 B 변호사를 이종필 전 라임 부사장의 변호사로 선임해 선임료 명목으로 2억5천만 원가량을 건넸다고 입장문에서 밝혔습니다.
B 변호사는 선임계약서를 쓰지 않고 변호인 역할을 했으며, 라임 사건 담당 검사와의 친분을 이용해 수사 진행을 지연시키는 등 사건을 무마하려 했다고 김 전 회장은 주장했습니다. 검찰은 B 변호사에게 변호사법 위반 혐의를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 중입니다.
여권 정치인 상대 로비 의혹 수사도 여전히 진행형입니다. 김 전 회장은 지난 5월 검찰에 송치된 후 조사에서 강기정 전 청와대 정무수석을 비롯한 여권 인사들에게 로비했다는 취지로 진술했습니다.
검찰은 김 전 회장의 진술을 토대로 더불어민주당 기동민 의원 등을 소환 조사하고, 강 전 수석의 위치정보 시스템(GPS) 기록을 확보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냈습니다.
하지만 김 전 회장은 이후 옥중 입장문에서 여권 상대 로비 진술이 검찰의 회유에 의한 것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그는 "검찰은 여권 관련 수사를 진행하면서 '짜맞추기' 식으로 증거에 맞는 진술을 유도했다"면서 "기 의원을 비롯한
입장문이 공개된 후 여권 정치인 수사는 사실상 멈춘 상태입니다. 로비의 공여자 쪽인 김 전 회장이 관련 사실을 부인하는 만큼 다른 증거들이 나오지 않는다면 수사가 쉽지 않을 전망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