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지역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이 심상치 않습니다.
도내 첫 발생 1주일 만에 도내 육용오리 농장은 물론 종오리 농장과 도축장까지 걷잡을 수 없이 번지고 있습니다.
방역당국은 전남에서만 오리 133만마리를 살처분하면서 AI 차단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하루가 멀다하고 발생하는 의심 사례는 어김없이 고병원성 확진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감염됐더라도 무증상인 경우가 많아 검사를 받기 전에는 농장에서 감염 사실조차 모르고 있을 가능성이 커 방역당국이 AI 확산 차단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오늘(13일) 전남도에 따르면 도내에서는 이달 5일 영암군 시종면 육용오리 농장에서 의심 사례가 처음 발견된 이후 이날 오전 9시 현재까지 농장 3곳 도축장 1곳 등 모두 4건의 고병원성 AI 확진이 나왔습니다.
첫 의심 사례 발견 이후 확진-주변 농장 검사-의심 사례 추가 발견-확진-주변 농장 검사 확대 등이 반복되면서 고병원성 AI 확진이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첫 확진 나흘 후인 9일 나주시 세지면 육용오리 농장에서도 고병원성 확진이 나왔고 다음 날 나주의 오리 도축장에서도 고병원성 AI가 발생했습니다.
도축장 고병원성 AI 확진은 전남에서는 전례가 없어 방역당국까지 의아해하는 가운데, 바로 다음 날인 그제(11일)에는 장성 종오리 농장에서 고병원성 AI가 확진됐습니다.
하루 뒤인 어제(12일)는 영암군 덕진면의 육용오리 농장 2곳에서 H5형 AI 항원이 검출돼 고병원성 여부를 파악하는 정밀검사가 진행 중입니다.
방역당국이 우려하는 점은 전국적으로 10곳인 고병원성 AI 발생 농장 중 4곳이 전남에 몰려 있다는 점입니다.
타 시도의 경우 경기·충북·경북·전북 등에서 한두 곳이 나왔지만, 전남에서는 3년 만에 다시 나타난 고병원성 AI가 오리농장을 중심으로 무서운 속도로 번지는 모양새이기 때문입니다.
급속 확산으로 인한 도내 살처분 규모는 2017년의 경우 1개월간 40농가 81만2천마리였는데 올해는 이미 100만마리를 넘어섰습니다.
1주일 만에 도내 AI 발생농장 3곳 도축장 1곳의 오리 14만4천마리는 물론 발생지역 반경 3㎞ 이내 농장 39곳 119만4천마리 등 모두 133만마리가 살처분됐습니다.
도내에서는 267 농가에서 오리 492만 마리를 사육하고 있었는데 키우던 오리의 3분의 1이 1주일 만에 사라진 셈입니다.
문제는 이 같은 확산세가 당분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입니다.
이번 고병원성 AI는 과거 사례와는 다르게 증상이 없고 감염농장 간 연결고리가 없어 선제 대응이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과거에는 AI에 감염되면 폐사·설사·산란율 감소 등이 나타나는데 올해는 이런 사전 징후가 거의 없는 실정입니다.
또 감염 농장 간 연결고리를 찾기 힘들다는 점도 방역당국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역학조사를 통해 농장 간 감염 연결고리를 차단하면 됐는데 올해는 발생농장 간 이 같은 연결고리를 찾기 어려워 역학조사가 무의미한 실정입니다.
특히 나주 도축장의 경우 감염 오리의 출하 농장에 대한 검사에서는 음성이 나왔는데 도축장에서 양성이 나온 원인도 아직 찾지 못하는 등 과거와는 AI 발생 양상이 다릅니다.
방역당국은 이로 인해 발생농장 반경 10㎞ 이내 모든 농가에 대해 정밀검사를 하면서 감염 농장을 찾아내는 데 집중하고 있지만, 감염 차단보다는 뒤늦게 감염 농장을 찾아내는 데 그치고 있습니다.
전남도는 확산 차단을 위해 이날 자정까지 도내 가금류와 관련 종사자·차량 등에 대해 일시 이동 중지 명령을 내렸습니다.
축산 관계 시설과 차량 소독, 역학농장
전남도 관계자는 "과거와는 다른 양상으로 AI가 번지고 있다"며 "가금 농가들의 경우 내 농장은 내가 지킨다는 생각으로 사료 차량 등 진입 차량과 출입자 소독을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