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에서 추진 중인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조성 사업이 본 궤도에 올랐다. 경북도는 이 사업을 통해 전기차의 사용 후 배터리 재활용이라는 신규 시장을 창출하고 이를 선점하겠다는 각오다.
30일 경북도에 따르면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의 주요 3개 사업 중 마지막인 '재사용 불가 배터리 재활용 실증사업'에 착수했다. 이 사업은 반납 받은 배터리 매각 대상과 기준 마련을 위한 실증 사업이다. 앞서 도는 지난해 7월 특구로 지정된 이후 지난 7월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재사용 실증'과 '배터리 종합관리 실증' 사업에 착수한 바 있다.
이로써 경북도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 선도 도시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배터리 배출량이 급증하면서 관련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배터리 재활용에 대한 시장 선점 효과를 노릴 수 있게 됐다.
전기차 배터리 산업은 '제2의 반도체' 혹은 '미래 산업의 쌀'이라 불릴 만큼 성장세가 뚜렷하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배터리 재활용 시장이 형성되지 않아 '배터리 핵심소재-배터리 완제품-전기차'로 이어지는 배터리 산업 생태계 구축이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포항이 선도적으로 배터리 재활용 사업을 추진하면서 관련 기업들의 입주도 이어지고 있다.
특구 지정 이전 약 1%에 불과했던 블루밸리 국가산업단지 입주율은 포스코케미칼, 피엠그로우 등 배터리 소재기업이 입주하면서 1차 임대부지가 완판되는 성과를 거뒀다. 지난 1월 GS건설도 포항 영일만 4산업단지 56만㎡ 용지에 배터리 재활용 생산공장을 건설하기 위해 1000억을 투자하는 등 대기업 투자도 잇따르고 있다. 특구 사업이 본 궤도에 오르면 니켈, 코발트, 망간 등 2차전지 원료광물 자립화 시장도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부와 업계에서는 포항에 들어설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설을 통해 2022년께 세계 2차전지 소재 분야에서 연간 8000
하대성 경북도 경제부지사는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 지정으로 경북은 명실상부한 2차전지 거점 도시가 되었다"며 "특구 사업의 목표인 사용 후 배터리 활용기준 마련을 차질 없이 수행하겠다"고 밝혔다.
[포항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