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100명 중 5명 이상이 우울증을 앓고 있으며 정상인보다 자살률 또한 약 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국내 우울증 유병률에 대한 연구는 존재했지만, 표본 집단이 작아 대표성을 갖기에는 부족했다. 하지만 이번 연구는 코호트 방법이 적용된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로 신뢰도가 높다.
서울 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신용욱·예방의학과 조민우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표한 약 100만명 이상의 진료 빅데이터를 활용해 표본 코호트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을 겪고 있는 환자가 약 5.3%였다고 30일 밝혔다.
기존 국내 우울증 유병률은 3%로 계산되어 5%가 넘는 선진국보다 낮게 분석됐지만, 실제로는 선진국과 비슷한 수준인 것이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우울증이 자살률에도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도 나왔다. 일반인보다 약 4배 가까이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002년부터 2013년까지 전국의 각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들 중 연령과 상관없이 무작위로 101만여 명의 임상 데이터를 추출한 표본 코호트 자료를 활용해 국내 우울증 유병률, 우울증과 자살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먼저 2002년에는 우울증 환자가 전체 표본 대비 약 2.8%였다. 하지만 2013년에는 약 5.3%로 약 2배 가까이 유병률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우울증 환자 비율이 증가했고, 남성보다는 여성이 우울증을 더 많이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소득 수준과 거주 지역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용욱 서울아산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를 겪으면서 우울증뿐만 아니라 자살률이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크게 늘었는데 최근에도 코로나19가 장기화되면서 사회 활동이 줄어들다보니 흔히 '코로나 블루'라고 불리는 우울감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박완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